【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가 15일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 원내대표 연설에서 핵무장론을 꺼내들었다. 북핵 개발로 인해 핵무장론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지난 1992년 비핵화 선언 이후 한반도에서는 비핵화 바람이 불었고, 지금까지 유지돼 왔다.

그런데 새누리당 원내대표 때문에 핵무장론이 다시 제기 됐다. 원유철 원내대표가 그것도 국회 원내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밝혔다.

원내교섭단체 대표 연설은 단순히 개인의 의사를 밝히는 것이 아니다. 정당의 의견을 표출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핵무장론은 단순히 집권여당 원내대표 개인의 주장으로 치부할 수 없다. 벌써부터 외교적 마찰을 예고할 수 있다.

중국의 경우에도 집권여당의 핵무장론에 예의주시하고 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이어 핵무장론까지 중국으로서는 뒷목잡고 쓰러질 일만 남은 셈이다.

때문에 집권여당이 원내교섭단체 대표 연설로 부적절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핵무장론이 개인적인 의견으로 나올 수는 있지만 집권여당 원내대표가 국회 본회의장에서 원내대표 교섭단체 신분으로 제기했다는 것은 심각한 외교적 문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그만큼 핵무장론이 단순히 넘길 사안은 아니라는 것이다. 핵무장론이 앞으로 어떤 식으로 전개될 것인지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특히 일본의 군비경쟁에 불을 붙일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이 이미 군사대국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원유철 원내대표의 핵무장론이 이에 불을 당길 수도 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핵무장론은 중국을 압박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가 전술핵을 갖게 되면 가장 압박이 되는 나라 중 하나가 바로 중국이다. 중국은 한반도에 전술핵을 배치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북한을 압박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유철 원내대표의 핵무장론은 적절치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키워드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