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과 득표율이 다른 여론조사
응답률·방식에 따라 차이가 드러나

유선전화 민심 왜곡현상 일어나
안심번호로 바뀌어야 한다는 여론

4월 총선 공식 선거운동이 본격화됐다. 이런 가운데 언론은 매일 같이 여론조사 결과를 쏟아내고 있다. 어떤 사람은 이런 여론조사를 놓고 ‘경주중계’를 비유하기도 했다. 오늘은 A번마(馬)가 앞서고 내일은 B번마가 앞서는 여론조사 경쟁을 놓고 유권자들은 혼란을 거듭하고 있다. 그리고 과연 여론조사를 신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생기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앞서는 후보는 여론조사를 활용하고, 뒤지는 후보는 여론조사를 믿지 않는다. 또한 일부 후보는 여론조사를 왜곡하기도 한다. 여론조사에 후보들뿐만 아니라 유권자들까지 울고 웃고를 하고 있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A번마(馬) 앞섭니다. 아, B번마가 바짝 추격하고 있군요. B번마 B번마. B번마가 추월을 했습니다”

선거에서 여론조사는 흡사 경주중계를 보는 듯하다. 각종 언론매체에서는 매일 같이 여론조사 결과를 쏟아내고 있다. 후보들은 흡사 경마장의 경주마와 같은 신세이다. 어제는 자신이 이긴다는 여론조사 결과에, 오늘은 자신에 뒤진다는 여론조사 결과에 울고 웃고를 반복하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여론조사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라는 의구심이 든다.

실제로 지난 2012년 총선 당시 부산 지역 모 일간지가 실시한 3월 여론조사와 실제 득표율을 비교해보면 부산 북강서갑의 경우 당시 박민식 후보가 50%의 지지율이 나왔고, 전재수 후보가 38%의 지지율이 나왔다. 하지만 득표율은 박민식 후보가 52.4%, 전재수 후보가 47.6%를 기록했다. 부산 사하갑의 경우 문대성 후보가 39.9%, 최인호 후보가 30%의 지지율을 보였다. 하지만 득표율은 문대성 후보가 45.1%, 최인호 후보가 41.6%로 기록됐다. 이처럼 여론조사 지지율과 득표율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이번 총선 여론조사의 경우에는 같은 지역에서 불과 하루 이틀 차이로 발표되는 여론조사에서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부산 북강서갑의 경우가 바로 그러하다. <부산일보>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의뢰해 지난달 27일 북강서갑 거주 유권자 8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달 29일 보도한 결과(신뢰수준 95%, 오차범위 ±3.4% 포인트)에 따르면 전재수 후보가 51.8%, 박민식 후보가 38.5%로 전 후보가 13.3% 포인트나 앞섰다. 하지만 <국제신문>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6~27일 북강서갑 거주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지난달 31일 보도한 여론조사 결과(신뢰수준 95%, 오차범위 ±4.4% 포인트)에서는 박민식 후보가 39.3%, 전재수 후보가 26.4%로 박민식 후보가 12.9% 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와 관련해 기타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여론조사 왜곡은 왜

같은 후보를 대상으로 비슷한 시기에 실시한 여론조사가 상이한 결과를 내놓은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라는 의문이 드는 것은 당연하다.

정답은 바로 응답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산일보> 여론조사의 응답률은 4.3%였다. <국제신문>의 응답률은 12.8%였다. 또한 여론조사 방식도 차이가 있다. <국제신문>은 유선전화면접을 사용한 반면 <부산일보>는 유선ARS를 사용했다.

이처럼 여론조사는 응답률이나 여론조사 방식은 물론 문항의 내용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진다. 실제로 유선ARS 즉 유선 자동응답기 방식의 경우에는 왜곡된 여론조사 결과를 도출하기 쉽다.

예를 들면 응답자 자신의 실제 나이는 60대인데도 불구하고 40대 혹은 20대라고 거짓으로 응답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고 유선전화면접방식이라고 정확한 것은 아니다. 40대가 20대라고 거짓으로 응답을 해도 전화면접관이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20대 응답자로 기록된다. 때문에 유선전화면접방식 역시 정확한 것은 아니다. 물론 유선전화면접방식이 유선ARS에 비해 정확도가 다소 있기는 하지만 이 역시 정확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대부분 유선전화 방식은 그야말로 왜곡된 민심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대낮에 집에 거주하는 사람의 상당수는 노년층이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들은 학교나 직장 혹은 외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노년층은 집에 거주하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여론조사가 오게 되면 주로 노년층이 응답을 한다.

때문에 여론조사 자체가 왜곡된 민심을 반영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요즘에는 집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주로 휴대전화를 많이 사용하지 집전화를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런 이유로 인해 젊은층 유권자들의 민심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달 31일 “여론조사는 대부분 유선전화(집전화)로 조사되는 데 응답률이 지극히 낮아 대표성 등에 문제가 있다”며 “바닥 민심과 차이가 있다”고 비판한 것도 이런 내용과 일맥상통하다. 문 전 대표는 “우리가 총선에서 다수당이 된다면 유선전화 조사를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득표율은

실제로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여론조사 결과에서 야당이 대략 5~10% 더 높게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응답자의 성향을 살펴보면 야당에게 유리한 이슈가 터져나왔을 때에는 야당 지지층 응답자의 응답 확률이 상당히 높다. 반면 여당에게 유리한 이슈가 터져나왔을 때에는 야당 지지층 응답자는 아예 응답을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여당 지지층 응답자가 응답을 주로 하는 경향이 강하다. 때문에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평소 여론조사 결과에서 야당 후보가 5~10% 정도 더 높게 하면 득표율과 얼추 비슷하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만큼 현재 여론조사가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이유로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숫자’를 보지 말고 ‘추세’를 보라고 조언하고 있다. 즉, 지지율이 ‘얼마’ 나왔냐가 아니라 지난주 지지율과 비교해서 ‘상승’ 혹은 ‘하락’했느냐를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수치는 신뢰할 것이 못된다는 것이다.

선거 때 여론조사의 부작용이 있다. 그것은 바로 ‘밴드웨건’ 효과와 ‘언더독’ 효과를 유발한다는 것이다. ‘밴드웨건’ 효과는 대세에 따라가는 것을 의미하고, ‘언더독’ 효과는 후발주자가 선전을 할 때 응원을 해주는 것을 말한다. 여론조사 1위를 달리는 후보가 계속 1위를 달리게 되면 투표의향층 중에서 아직 후보를 정하지 못한 유권자들이 여론조사 1위 후보에게 투표를 하는 경향이 강하게 작동된다. 또한 여론조사에서 2위를 달리던 후보가 1위 후보 뒤를 바짝 뒤쫓을 때 투표의향층 중에서 아직 후보를 정하지 못한 유권자들이 2위 후보에 투표를 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이 여론조사의 맹점이다. 대세론 후보에게 혹은 1위를 바짝 추격하는 후보에게 몰표를 주는 경향이 생기게 된다. 때문에 일부 여론조사는 후보들에게 홍보효과를 주게 된다. 이런 이유로 일부 후보자는 아예 여론조사 결과를 갖고 홍보를 하는 경우도 있다. 그야말로 여론조사의 부작용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개선책은

민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여론조사 결과를 너무 맹신하면서 유권자들이 더욱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여론조사 방식을 새롭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제는 유선전화 방식의 여론조사를 아예 폐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에 새롭게 떠오르는 대안이 안심번호 여론조사다. 이동통신사에서 건네받은 안심번호(050)를 활용해서 여론조사를 하는 것을 말하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은 이동통신사로부터 건네받은 안심번호르 접전지역 110곳에 대해 정밀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지역구마다 유선인 집 전화를 이용하던 방식(300명)에 휴대폰 조사로 400명을 더한 것이다. 그랬더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집 전화 조사에서 5%포인트 이상 뒤지던 후보들이 거꾸로 이긴 것이다.

현재까지는 안심번호가 여론조사기관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정당은 사용할 수 있다. 안심번호와 유선전화의 결과가 이렇게 다른 이유는 우선 응답률의 차이가 있다. 유선전화의 평균 응답률은 2~3% 정도이지만 안심번호는 5~6% 정도다. 그리고 모든 연령층에서 고른 응답을 도출할 수 있다. 이미 이동통신을 가입할 때 신분증 등으로 인해 신원을 확인한 상황이기 때문에 굳이 따로 신원을 확인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응답자가 실제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지 여부는 확인할 길이 없다. 왜냐하면 신분증상의 주소지와 실제 거주 주소지가 다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심번호를 활용한 여론조사로 나아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래야만 정확한 민심을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비용문제가 남아 있다. 유선전화 방식은 1천건 당 250만원이지만 안심번호 조사는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