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4월 총선 이후 여야는 하루라도 빨리 전당대회를 열어서 새로운 지도부를 꾸릴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전당대회가 연기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새누리당이나 더불어민주당이나 국민의당 모두 전당대회를 연기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하지만 그 속내는 완전히 다르다. 새누리당이 주장하는 ‘전대 연기론’,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하는 ‘전대 연기론’, 국민의당이 주장하는 ‘전대 연기론’의 속내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이 4월 총선 참패 이후 김무성 전 대표가 원유철 원내대표에게 비상대책위원장 자리를 내어줬다. 이때만해도 전당대회가 하루라도 빨리 개최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친박계가 전대 연기론을 주장했다. 전대가 하루라도 빨리 열리게 된다면 총선 패배 책임론에서 벗어날 길이 없기 때문에 가급적 하루라도 늦게 전대를 열기를 원했다. 반면 비박계는 하루라도 빨리 개최되기를 희망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박계도 전대를 가급적 늦게 열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것은 비대위가 관리형 비대위가 아니라 혁신형 비대위로 가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대를 하루라도 빨리 열게 되면 관리형 비대위가 필요하게 되고, 5월 3일 선출되는 새로운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으면 된다. 하지만 혁신형 비대위에 점차 힘이 실려지게 되고 외부인사를 비대위원장에 앉혀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려지면서 자연스럽게 혁신형 비대위가 활동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해서 전대를 연기해야 한다는 여론이 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더불어민주당의 경우에도 총선 끝나자마자 전당대회 이야기가 오갔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합의추대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친노 인사들을 중심으로 합의추대 불가와 더불어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급기야 지난 22일 문재인 전 대표와 김종인 대표가 만나서 합의추대 논란에 대해 일단락을 보이는 듯했다. 물론 현재까지 이날 오간 대화에 대한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지만 합의추대 가능성은 점차 희박해지고 있다.

그러자 전당대회를 가급적 늦춰야 한다는 여론이 나오기 시작했다. 지금 이 상태에서 전당대회를 치르게 된다면 또 다시 계파 갈등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김종인 대표가 당분간 당 대표를 맡아야 한다는 여론이 뜨겁다. 그러다보니 전당대회를 가급적 늦추는 것이 낫지 않겠냐라면서 전당대회 연기론이 힘을 받고 있다.

또한 지난해 연말 가입한 10만 권리당원들이 전당대회에 참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전당대회를 늦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국민의당은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혔다. 왜냐하면 기간당원을 아직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기간당원이 있어야 당 대표를 선출할 수 있는데 국민의당이 지난 2월 창당한 점을 내비쳐볼 때 아무리 빨라도 8월이나 돼야 기간당원이 된다.

때문에 지금부터라도 기간당원을 최대한 확보를 해야 올해 연말에 전당대회를 치를 수 있다. 이런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당 지도부는 일단 연말로 전당대회를 옮기자고 한 것이다. 물론 이는 당헌당규에 위배되는 것이다. 따라서 당헌당규를 어떤 식으로든 수정을 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