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최근 검찰이 각종 논란에 휘청거리면서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그 개혁이 외부의 손에 의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검찰은 얼굴을 들 수 없을 정도이다. 정운호 전 네이처리퍼블릭 대표로부터 불법 자금을 받은 혐의로 홍만표 전 검사는 구속 기소됐다.

넥슨 측으로부터 공짜 주식 등을 받은 혐의로 진경준 검사장은 구속됐다. 특히 진경준 검사장은 헌정사상 현역 검사장이 구속된 첫 사례이다.

게다가 검찰 출신인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의 처가 부동산 의혹이 제기되면서 검찰은 그야말로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을 정도이다.

이에 검찰이 개혁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검찰 개혁 하면 떠오르는 것이 있다. 바로 공직자비리수사처의 신설이다. 공수처 설치는 1996년부터 20여년 동안 때마다 제기됐다. 주로 야당이 관련 법을 발의하면 정부와 여당이 반대해왔다.

새누리당은 2년 전 검찰개혁의 일환으로 도입한 상설특검제와 특별감찰관 등을 업급, 공수처 신설을 반발했다.

검찰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중수부 폐지와 공수처 신설이다. 그런데 중수부는 폐지가 됐다. 그리고 그 이후 미니중수부라고 할 수 있는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출범했다.

그만큼 검찰은 중수부 폐지와 공수처 신설을 가장 두려워하고 있다. 중수부가 폐지되고, 공수처가 신설되면 그만큼 검찰의 권한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공수처가 신설되면 검찰을 수사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검찰의 치부가 드러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때문에 공수처 신설에 대해 20여년 동안 계속해서 반대해왔다. 그런데 이번에는 공수처 신설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여소야대 정국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이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은 8월 국회 때 공수처 신설을 법제화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반발하고 있다.

문제는 검찰 출신 국회의원들의 반발을 어떤 식으로 무마하느냐는 것이다. 그동안 공수처 신설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이유는 검찰 출신 국회의원들이 결사항전의 자세로 반대해왔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무엇보다 여서야대 정국 속 20대 국회에서는 검찰 출신 국회의원 비중이 다소약해졌다. 때문에 공수처 신설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외부 즉 정치권에 의해 개혁이 이뤄지기 전에 검찰 스스로 개혁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