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스

【투데이신문 장승균 기자】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경북 성주 배치를 놓고 동북아의 긴장상태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는 모습이다.

지난 8일 정부는 북핵·미사일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사드 배치가 불가피하다면서 사드 배치 결정을 발표했다.

그 이후 중국과 러시아가 반발을 해왔다. 하지만 그래도 외교적 파국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하지만 지난 24일(현지시간)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중국 반응은 그 이상이었다. 이번 회동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 계기에 이뤄진 것으로, 사드 배치 결정 이후 한중 외교장관이 처음으로 대면한 자리였다.

이 자리에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최근 한국 측의 행위는 쌍방의 상호 신뢰의 기초에 해를 입혔다”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 측이 실질적인 행동으로 우리 사이의 식지 않은 관계를 수호하기 위해 어떤 실질적인 행동을 취할 것인지에 대해 들어보려고 한다”고 밝혔다.

한중 신뢰에 해를 입혔다면서 강력하게 나온 것이다. 이는 단순히 사드 배치 반대 의견을 표명한 것이 아니라 사드 배치 추진 중단을 요구한 셈이다.

사드의 배치로 인해 국제사회의 여파가 상당하다. 우선 북한과 중국이 가깝다는 메시지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사드 배치가 북핵·미사일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북한과 중국이 가까워지면서 오히려 대북제재에 상당한 역효과를 발생하게 만들었다.

여기에 중국은 남중국해 문제를 놓고 미국과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사드 배치를 계속 고수할 경우 중국 측의 반발이 상당히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이야 말로 하는 수사적인 외교전을 펼치고 있지만 경제보복 등으로 번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WTO 등이 있기 때문에 파국으로 치닫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국이 단단히 화가 난 것만은 분명하다. 물론 이에 대해 우리 국민 중 일부는 “지나친 내정간섭”이라면서 반발할 경우 중국과의 외교관계가 진짜로 파국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우리 정부의 외교력이 강화돼야 한다. 특히 중국을 최대한 설득해야 한다. 그러자면 외교라인의 교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윤병세 외무부 장관을 비롯한 외교라인 교체를 통해 외교력을 탄탄히 다지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을 최대한 설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