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신임 원내대표로 선출된 정우택 의원 ⓒ뉴시스

원내대표 정우택 당선으로 비박계 힘 잃어
탈당 하려고 해도 동력 없어 못하는 상황

비대위원장 자리도 놓지 못해…한숨쉬는 비박
탈당 시기는 결국 특검 수사에 따라 결정될 듯

새누리당 비박계가 ‘시기’를 잃어버렸다. 탈당의 시기를 놓친 것이다. 원내대표 경선에서 나경원 의원이 탈락하면서 비박계는 당권 장악에 실패한 모습이다. 그렇다고 탈당을 하기에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비박계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잃어버린 것이다. 친박계에 무릎을 꿇고 새누리당 내부에서 조화롭게 살아가야 할 것인지 아니면 당권 투쟁을 위해 갈등을 더욱 증폭시켜야 할 것인지 기로에 놓인 상태다. 물론 탈당의 시기는 놓쳤지만 탈당 카드는 언제든지 열려있다.

【투데이신문 장승균 기자】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가결 이후 친박은 폐족이 됐는지 알았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착각을 했다. 탄핵 가결된 이후 친박의 세력은 소멸되고 그 자리를 비박계가 차지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하지만 친박의 저항은 강했다. 반면 비박은 사실상 당권을 자신들이 장악한 것으로 착각했다. 그리고 비박 내부의 셈법은 복잡했다. 친박은 똘똘 뭉친 반면 비박은 그러지 못했다. 친박은 여기서 밀리면 죽는다고 판단했고, 비박은 이제 당권 접수를 해야 한다고 봤다. 그러다보니 탈당 대신 원내대표 경선을 생각했다. 원내대표를 장악한 후 비상대책위원회를 접수하면 새누리당을 접수할 것이라고 판단내린 것이다. 그리고 난 후에 새누리당을 해체해서 새로운 보수정당을 탄생시킬 것이라는 원대한 계획을 세웠다. 반면 친박의 목표는 간단했다. 여기서 밀리면 끝장이다고 생각한 것이다. 벼랑 끝에 내몰린 세력은 공고했다. 단호했다. 반면 비박계의 공세는 약했다. 서로 다른 셈법을 가지면서 단일대오의 목소리가 나오지 않았다.

힘 잃은 비박

원내대표 경선만 보더라도 친박이 비박에게 승리를 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다. 비박은 낡은 보수 청산을 내세운 반면 친박은 당의 화합을 이야기했다. ‘불만’과 ‘불안’ 사이에서 비박은 불만을 선택한 반면 친박은 불안을 선택했다. 비박은 낡은 보수 청산을 이야기했다. 아마도 그것은 전당대회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단어이다. 하지만 원내대표 경선에서 사용해서는 안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낡은 보수 청산이라고 할 때 친박계가 아닌 중도층 의원들은 ‘낡은 보수’의 개념이 어디까지인가라는 판단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박근혜 대통령의 부역자인 자신들도 포함이 되는 것 아니냐는 위기의식이 작동하지 않을 수 없다. 중도층 의원들은 새누리당의 혁신을 이야기하면서도 자신이 그 혁신의 대상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그것은 친박도 비박도 마찬가지다. 만약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을 대상으로 ‘낡은 보수 청산’을 외쳤다면 그것은 먹혀들어갔을 구호이다. 하지만 의원들을 대상으로 ‘낡은 보수 청산’을 외치는 것은 위험한 선거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친박은 당내 화합을 외치면서 혁신을 이야기했다. 화합하는 가운데 혁신을 이뤄내자는 것이다. 중립성향 의원들로서는 비박의 구호보다는 친박의 구호가 마음에 들 수밖에 없다. 때문에 친박이 승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박은 결국 패배를 했다.

문제는 원내대표 경선의 패배가 비박의 스텝을 상당히 꼬이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물론 일부 비박계 인사들은 친박계가 중립성향 의원들에게 조직적으로 친박 인사인 정우택 의원을 선출해달라고 요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으로 인해 원내대표 경선을 불복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다시 말하면 원내대표 경선에 패배했다고 탈당을 할 수도 없는 입장이다. 그러다보니 비박계의 논리는 비대위원회 구성을 보고 탈당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친박계 축출도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상황인데다 비박계는 탈당의 시기를 놓쳤다. 이는 비박계가 앞으로도 상당히 힘을 잃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박의 고민

이렇게 된 이유는 비박계가 전략을 잘못 선택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비박계의 대표주자는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이다. 그런데 김무성 전 대표는 ‘탈당 적극파’이고, 유승민 의원은 ‘탈당 소극파’이다. 문제는 김무성 전 대표가 이미 대권 불출마를 선언했다. 이렇게 되면 김무성 전 대표 혼자 탈당을 한다고 해서 비박계 의원들이 줄줄이 탈당을 할 수 없다. 대권 주자가 없는 세력에 합류할 의원은 없다. 결국 유승민 의원의 탈당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유승민 의원이 탈당에 대해 소극적인 행동을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하면 사실상 탈당은 힘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무성 전 대표 혼자 탈당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비박계의 가장 최적의 시나리오는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이 선도탈당을 하고,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을 끌어들이게 된다면 새누리당의 상당수 의원이 탈당을 결행, 신당에 합류할 것이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어긋났다. 김무성 전 대표가 탈당을 하고 싶어도 함께 탈당을 할 의원이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는 것이다. 유승민 의원은 탈당에 소극적이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역시 과연 비박계 신당에 합류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결국 비박계에서 나오는 이야기는 비대위원장 선출을 보고 탈당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비대위원장을 선출하는 전국위원회 70% 정도가 친박계 인사들이다. 즉, 친박계 비대위원장이 선출될 가능성이 높다. 물론 현재 친박계에서 친박·비박 공동 비대위원장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비박계에 당권을 모두 넘겨주지 않겠다는 것이다. 결국 비박계는 탈당의 시기를 계속 놓치고 있는 것이다.

비박의 결단

비박계가 탈당을 결행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는 여론조사 지지율 때문이다. 비박계가 탈당을 결행하기 위해서는 의미있는 지지율이 나와야 한다. 그것은 바로 영남에서 의미 있는 지지율이 나와야 한다. 그런데 각종 여론조사를 살펴보면 영남에서 비박계 신당은 친박계 신당에 비해 지지율이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박계가 탈당을 해서 신당을 차리려고 해도 지지율이 친박계 정당에 비해 떨어진다. 따라서 비박계로서는 탈당을 결행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CBS김현정의 뉴스쇼’ 의뢰로 지난 14일 하루동안 전국의 성인 1037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15일 발표한 정당지지율에서 새누리당 지지층 중 친박당(54.0%)이 비박당(25.4%)보다 2배 이상 지지율을 더 결집시켰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호남권과 수도권은 비박당의 지지층 결집력이 친박계를 앞섰지만 대구·경북(TK) 등 영남권에서는 친박당의 결집력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 이하 모든 연령층에서 비박당의 지지층 결집력이 친박당을 앞선 것으로 집계됐다.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8.9%(총 통화 1만1664명 중 1,037명 응답 완료),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p이다.

또 다른 이유는 새누리당 의원들의 습성 때문이다. 야당은 ‘개별적 자영업자’의 습성을 갖고 있다. 즉,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장사나 하면 되는 것이지라는 자영업자의 습성을 야권 인사들은 갖고 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대기업 사원이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장사라도 할까’라고 생각하다가도 ‘그래도 월급 받고 다니는 것이 최고야’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대기업을 나와 ‘자영업’을 하겠다는 용기를 갖는 인사들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때문에 탈당을 결행해서 신당을 차리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른바 웰빙 정당의 한계이다. 때문에 새누리당이 쉽게 깨지기는 힘들어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당은 여전히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친박계와 함께 할 수 없다는 것은 비박계의 공통된 생각이다. 당권을 친박계에게 모두 넘겨준 상태에서 새누리당 지지율이 계속 하락세를 보이게 된다면 결국 비박계도 결심할 수밖에 없다. 다만 그 시기를 놓쳤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까지 기회는 있다. 그것은 바로 특검 수사 결과이다. 특검 수사 결과에서 대통령의 국정농단에 새누리당 의원이 개입한 정황이라도 드러나게 된다면 비박계는 탈당을 결행할 명분을 얻게 되는 셈이다. 그 이전까지는 탈당 기회를 놓쳤다고 볼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