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지난해 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전년 대비 10% 가까이 증가했다. 그 원인으로 모방 자살 효과 등이 상당한 영향이 미쳤을 거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4일 통계청의 ‘2018년 사망원인통계’를 바탕으로 2018년 자살사망자 수가 1만3670명으로 2017년보다 1207명(9.7%)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인구 10만명 기준으로 자살률은 26.6명으로 전년도 24.3명에 비해 9.5% 증가한 수치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의 자살률은 14.8명인 반면 남성의 자살률은 38.5명으로 2.6배 높았다. 전년 대비 남성과 여성은 각각 10.4%, 7.4% 늘어났다.

연령별로는 10대부터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로 자살이 꼽혔으며, 40대와 50대에서는 2위에 섰다. 80대 이상을 제외하고 전 연령대에서 전년 대비 자살률이 증가했다.

자살은 제도적, 사회적, 개인적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기 때문에 한두 가지를 원인으로 명확하게 설명하긴 어렵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자살을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자살 원인을 한 가지만으로 혹은 스트레스 요인만으로 규명하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자살사망자 수가 증가한 원인을 꼽자면 언론을 통해 알려진 유명인들의 자살사건 모방효과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거란 게 복지부의 분석이다.

또 지난해 자살실태조사 결과 자살에 대한 허용적 태도는 증가하고 자살예방 인식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처럼 자살에 대한 인식 악화가 자살사망자 수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향후 계속해서 자살사망자 수가 늘어날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시각이 있다.

그러나 올해 7월까지는 2018년 대비 약 8% 내외(약 600명대 내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고, 2011년 이후 2013년에 일시적 증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자살률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복지부는 정확한 결과는 2019년 자살사망자수 잠정통계가 공개돼야 알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복지부는 이번 결과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이 자료들을 토대로 정확한 원인 분석과 대책 보완을 검토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국무총리 주재 자살예방정책위원회에서 결정된 국가 행동계획 보완대책 등 효과적인 자살예방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이 대책이 현장에서 실제로 효과를 내고 있는지 주기적인 현장 점검 등을 실행에 옮기겠다”고 밝혔다.

이어 “경제적 취약 계층 등 어려움에 처한 분들이 자살을 선택하지 않도록 포용적 복지 정책도 계속해서 추진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살은 종교계와 언론계, 재계, 노동계, 관련 전문가, 시민단체 등이 다 같이 노력해야 하는 사회 문제이기 때문에 향후 생명존중정책 민관협의회 등에서 실천 가능성 있는 협력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