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노은 칼럼니스트
▲ 김노은 칼럼니스트

【투데이신문 김노은 칼럼니스트】 다산 정약용 선생은 유배지에서 자신의 아들에게 한 통의 편지를 써내려갔다. 많은 내용 중 유독 눈에 띄는 것은 “절대로 한양의 사대문 안을 떠나지 말라”는 충고다. 자신은 타지에서 고초를 겪고 있지만, 언제나 왕의 근처에서 살피라는 것이 주요 의미일 테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생각해보자면 그만큼 수도에서만 이룰 수 있는 가치의 크기를 상상해볼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옛말에 ‘사람이 태어나면 서울로, 말은 태어나면 제주로’라는 말이 있듯 말이다.

지난 2019년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현황에 따르면 사상 처음으로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인구가 비수도권 인구를 넘어섰다고 한다. 또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중위추계)에서는 2047년 전국의 인구는 4891만 명이며, 고령화·저출산 등으로 인해 2028년 519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인구가 감소 할 것으로 예상했다. 감소하는 인구 총량에도 불구하고, 통계청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에 더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향후 50년간 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했다.

인구, 지역내총생산, 연구개발비 등의 다양한 항목에서 수도권 집중도가 가속화 되고 있다. 주요 거점 도시들은 비수도권의 인재와 기업을 급속히 빨아들이고 있어 지방 지역의 대책 마련은 더욱 시급해지고 있다. 이러한 지역불균형 현상이 지속된다면 수도권은 토지비용, 환경개선비용 등의 사회적 비용이 계속 증가하게 될 것이며, 비수도권 지역은 자생적 성장기반을 상실해 국가경쟁력의 약화가 초래될 수 있어 건전한 국가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에 등장하게 된 대안이 바로 ‘메가시티’다. 근래들어 이러한 논의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해지고 있는데, 기존의 ‘메트로시티’에서 ‘메가시티’로 도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영국, 프랑스,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이미 20여 년 전부터 메가시티 육성에 앞장서 개발과 적용을 이어가고 있다. 도시성장력 제고 방안의 결론을 ‘메가시티’로 확정하고 추진하는 셈이다.

‘메가시티’란 핵심도시를 중심으로 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대도시권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경제규모를 갖춘 인구 1000만 명 이상의 거대 도시를 뜻한다.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권역을 의미하는 이 개념은 사실 행정구역상으로 확정된 ‘도시’의 개념이 적용되지는 않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추진중인 메가시티로서는 부산·울산·경남을 하나로 묶는 동남권 메가시티가 대표적이다. 수도권 인구가 50%를 넘어서면서 광역권으로 연합을 통한 지방 소멸 위기감 해소 및 수도권지역 대응을 위해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이 논의됐으며, 동남권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동북아 8대 광역경제권 성장, 국가균형발전 선도, 주민 행복도 제고를 목표로 하고 있다.

동남권 메가시티의 추진 전략으로는 △광역교통체계 구축 △경제 공동체를 통한 동북아 물류 허브 구축 △부·울·경 거버넌스를 통한 행정공동체 구축 △환경·안전·보건 분야 지속 가능한 도시 건설 등을 통해 동남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일명 부울경(부산·울산·경남)으로 통칭되는 지역과, 광주광역시와 전남도가, 대전·세종시와 충청남·북도 등이 메가시티 구축 논의에 한창이다. 메가시티의 논의를 위해서는 광역 인프라 설치와 관리, 환경처리시설 입지, 도시개발 등 여러 지역에 걸친 광역적 사업을 두고 메가시티 차원의 협의체를 구성해 가는 일부터 시작돼야 할 것이다

각 지역에서는 광역 SOC 확충을 위한 수단으로 메가시티를 인식하는 것이 아닌 상호 협력적이며 연계적인 자세로 시급한 과제를 찾아 최우선 사업으로 삼고, 이의 해결에 집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정치적 슬로건 뿐만이 아닌 실질적 연계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하나 된 부산, 울산, 경남으로 향후 수도권과 함께 한국의 양대 축으로 성장한 동남권 메가시티를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