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간다 키칸드와 새마을금고 임직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새마을금고]
우간다 키칸드와 새마을금고 임직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새마을금고]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우간다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이다. 특히 농촌지역의 약 65%는 하루에 고작 2000원 정도를 벌고, 하루 세끼를 챙기기 어려운 날들이 허다하다. 코로나19가 시작되고 우간다 농촌지역은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지만, 이러한 위기 속에서 한국 새마을금고가 희망을 만들고 있다. 

먼저 음피지주(Mpigi district) 봉골레새마을금고는 지난해 12월말 기준, 회원 수 1335명으로 설립 1년 만에 지역으로 대표하는 금융협동조합으로 성장했다. 특히 가결산 결과 14백만 실링(약 462만원)의 순이익을 달성하고 회원들에게 배당도 가능하게 된 점은 놀라운 성과라고 평가받는다.

미티야나주(Mityana district) 부쿠바새마을금고도 코로나 바이러스 대확산 속에서 설립 1년 만에 1129명의 회원이 가입, 우간다 정부의 패리시개발모델 정책과 협력해 농촌지역개발을 선도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지역 수도요금 수납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마을주민들의 공과금 납부까지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코로나 위기의 순간에도 마을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냈다. 과거 한국의 새마을금고 임직원들이 가방을 메고 동네 골목을 누비며 회원들을 찾아다니면서 10원, 100도 마다하지 않고 파출수납하며 성장한 것처럼, 우간다 새마을금고 또한 집집마다 찾아 다니며 회원가입과 저축을 독려하고 함께 잘 사는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우간다 여성들이 금융기관에서 본인의 이름으로 된 통장을 가진다는 것은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다. 마사카 마을에 거주하는 테레자 할머니는 새마을금고를 통해 생애 최초로 저축계좌를 개설하기도 했다.

우간다에서 새마을금고는 지역 내 유일한 금융기관으로, 수익성을 이유로 농촌지역 점포를 줄이는 은행들과 달리 마을주민들 곁에게 희망이 되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새마을금고는 회원들이 잠시 휴식을 취해 소통하는 공간(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다.

지난 2018년 10월, 우간다 농촌지역 마을주민 30명에서 시작한 새마을금고는 어느새 7000명이 넘는 취약계층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새마을금고는 금융협동조합으로 회원들이 주인이고 민주적 절차를 준수하며 운영을 결정하기 때문에 끈끈한 친밀감과 신뢰감을 형성하고 있다”며 “금년부터 디지털 전환을 계획하고 있는 우간다 새마을금고는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금융포용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