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갤럭시S21·비스포크 판매 성장에 1분기 최대 매출
LG전자도 생활가전 인기, 사업본부 영업익 첫 9000억원 돌파 

ⓒ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전사업 회복 등에 힘입어 나란히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모바일 부문에서 LG전자는 생활가전 부문에서 호조를 보이며 이번 분기 성장을 견인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29일 2021년 1분기 확정실적을 발표하고 해당 분기 기준 각각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실적은 매출 65조3900억원, 영업이익 9조38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각각 19.2%, 45.5%씩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매출의 경우 디스플레이 비수기의 영향에도 스마트폰 판매 호조가 이어지며 1분기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실제 삼성전자의 IM(IT 모바일) 부문은 매출 29조1000억원, 영업이익 4조3900억원으로 최대 실적을 보였다. 여기에는 갤럭시S21 시리즈의 흥행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에 따른 노트북 판매 증가, 무선 이어폰 갤럭시 버즈 등의 성공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CE(소비자가전) 부문 역시 프리미엄 TV와 비스포크 등 생활가전 판매가 늘어나며 매출 12조9900억원, 영업이익 1조1200억원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 패널 부문은 고객사 수급 차질과 비수기가 겹쳐 실적이 하락했지만 매출 6조9200억원, 영업이익 3600억원 등 흑자를 이어갔다. 

다만 DS(반도체) 부문은 19조100억원의 양호한 매출을 올렸음에도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7500억원 감소한 3조3700억원에 머물렀다. DS 부문 실적 감소에는 지난 2월 미국 텍사스 지역의 기록적인 한파로 삼성전자의 오스틴 공장이 셧다운 됐던 것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주요 반도체 공급 차질로 스마트폰 출하 감소를 예상하면서도 가격 부담 요인 등이 해소되면서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대를 넘어설 것으로 보고 있다. 

같은날 실적을 발표한 LG전자는 매출 18조8095억원, 영업이익 1조5166억원으로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경신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27.7%, 39.1%씩 증가한 수준이다. 

LG전자는 H&A(생활가전) 부문의 성장이 1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H&A사업본부는 공간 인테리어 특성을 살린 LG 오프제컬렉션의 인기와 스타일러, 건조기, 식기세척기 등의 판매가 늘어나며 1분기 매출 6조7081억원, 영업이익 9199억원을 기록했다. 특정 사업본부의 분기 영업이익이 9000억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TV 사업을 맡고 있는 HE사업본부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4.9%, 23.9% 증가한 4조82억원, 4038억원으로 집계됐다. LG전자의 TV 사업은 북미,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수요 회복과 올레드 TV, 나노셀 TV, 초대형 TV 등 프리미엄 제품의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매출이 1조원 이상 늘어났다. 

LG전자가 미래 신사업으로 지목한 VS사업본부(전장사업)는 완성차 시장의 점진적 회복과 전기차 파워트레인 및 인포테인먼트 분야의 신규 프로젝트가 늘어나면서 전년 대비 43.5% 증가한 1조8935억원의 매출을 보였다. VS사업본부는 아직 영업손실(7억원)을 내고 있는 상황이지만 올해 7월 LG전자와 세계 3위 자동차 부품 업체 마그나의 합작법인이 설립되면 사업은 더욱 활기를 띨 전망이다. 

BS사업본부(비즈니스솔루션)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8643억원, 1340억원으로 나타났으며 MC사업본부(모바일)는 매출 9987억원, 영업손실 2801억원을 기록했다. MC사업본부의 영업손실은 오는 7월 31일 사업종료와 함께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유진투자증권 노경탁 연구원은 “MC 사업부 영업적자 해소로 LG전자의 연간 영업이익은 2021년 4조5000억원, 2022년 4조9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