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변동휘 기자】 오픈AI의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세계적인 화두로 떠오르면서, 각국 정부들도 이에 대응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중국의 반응이 극명하게 갈리는데, 자국산 생성 AI 개발에 열을 올리는 한편으로 챗GPT라는 ‘서비스’를 대하는 부분에서 시각차를 보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2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 정부 부처와 각 지자체들은 챗GPT 스터디에 한창이다. 지난달 신년 업무보고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공직 사회에 챗GPT 활용안 모색을 지시하면서부터다. 

일례로 과학기술 및 디지털 정책 총괄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2일 챗GPT를 활용해 작성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인공지능 챗봇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부처 내 활용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전문가 특강을 진행했다는 내용이다. 이들은 별도의 연구모임 ‘스위프트(SWIFT)’를 조직해 인공지능 챗봇의 효과적인 활용법과 적용 가능한 업무분야 등을 발굴하고, 수시로 성과 및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지자체도 ‘챗GPT 열공’에 한창이다. 충청남도는 조원갑 자치안전실장을 단장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와 민원팀, 관심 있는 공무원 등을 포함한 연구모임을 구성 중이다. 첨단 기술에 발빠르게 적응해 민원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취지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김영록 전남도지사도 챗GPT의 도정 접목을 시사했으며, 경상북도 역시 대외 홍보자료 작성과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등에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은 챗GPT 관련 서비스 제공을 금지하는 모습이다. 일본 닛케이아시아 등 외신은 지난 22일 최근 중국 정부가 자국 주요 IT 기업들에게 챗GPT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지 말 것을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텐센트와 알리바바 그룹의 핀테크 계열사인 앤트 그룹은 중국 정부로부터 자체 플랫폼에서 직접 또는 제3자를 통해 챗GPT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 해당 내용을 전한 소식통은 테크 기업들이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규제 당국에 보고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식적으로 중국 내에서 챗GPT에 대한 접근은 금지돼 있지만, 일부 이용자들은 VPN을 통한 우회 접근을 시도해왔다. 텐센트의 메신저 앱 위챗에서는 서드파티 개발자들이 공개한 수십 개의 ‘미니 프로그램’을 통해 접근이 가능했다. 하지만 텐센트는 정부의 지시 이후 챗GPT 접근 프로그램들을 모두 차단했다. 

챗GPT가 신장·위구르 지역에 종족 말살이 존재한다고 답하는 등 중국 정부의 입장과 상반된 답변을 내놓은 것이 이 같은 규제의 원인으로 꼽힌다. 중국 관영매체 차이나데일리는 자사 웨이보를 통해 미국 정부가 지정학적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사실을 조작하는 데 챗GPT가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논평했다. 

이에 대해 닛케이아시아는 챗GPT가 답변을 내놓기 위해 중국에 비판적인 시각이 많이 담긴 서구권의 데이터를 주로 분석하며, 이에 중국 당국이 대응에 나섰다고 관측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