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유동성 준비가 상황 좌우 전망...선제적 관리 당부
당국, 공동 검사 범위 늘리고 PF사업장 현황 정보 빠른 공유

서울시내 한 아파트 공사현장. ⓒ투데이신문<br>
서울시내 한 아파트 공사현장.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과 관련해 저축은행을 바라보는 세간의 불안감이 높다. 이런 가운데 금융 당국은 건전성이 우려되는 저축은행들에 대한 공동 검사를 추진키로 하는 등 상황 안정을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심리적 문제’의 고삐를 죄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19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전일 임원 회의를 통해 금감원과 예금보험공사의 저축은행 공동 검사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언급했다.

현재 금감원과 예보는 자산 2조원 이상 저축은행에 대해 2년마다 공동 검사하는데, 2조 미만의 경우까지 저축은행 리스크 관리 폭을 넓힌다는 것이다.

최근 저축은행권은 루머에 시달리는 등 문제를 겪고 있다. 

일례로 OK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이 1조원대 결손 및 지급정지 예정 루머에 말려든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저축은행중앙회까지 나서서 상황 진화에 나선 것은 실리콘밸리(SVB) 사태의 교훈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유야 어찌 됐든 실제로 뱅크런 즉 자금 이탈 현상이 일어나면 상황이 걷잡을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한 설명으로 상황 차단을 조기에 진행하려 나선 것.

12일 중앙회는 자료를 통해 “사실과 전혀 다른 내용이다. 또한 허위 사실 유포자와 접촉 결과 관련 내용에 대해 횡설수설하는 등 사실관계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아울러 “웰컴저축은행과 OK저축은행의 건전성 비율은 매우 양호한 수준이며 유동성비율도 저축은행 감독규정에서 정한 규제비율을 충분히 상회하는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연체율 등 지표를 보면 저축은행에 대한 우려는 일단 지나친 부분이 있다. 타 업권 대비 연체율 지표가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감원에서 제출받아 9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2.05% 수준. 증권사 10.38%, 여전사 2.20%  대비 낮다.

특히 여전사 4분기 연체율이 전분기 대비 1.13%포인트 오를 때 저축은행은 0.33%포인트 하락하기도 했다.  

다만 문제가 전혀 없는 건 아니다. 부동산 PF와 관련, 저축은행이 낮은 등급의 시공사를 주로 대상으로 한다는 점이 위기 상황으로 연결될 여지가 있는 것. 한국은행의 지난해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저축은행이 부동산 PF 대출을 취급한 시공사 중 등급이 낮은 곳의 비중이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87.5%가 투기 또는 무등급이다. AA등급은 1.3%, A등급, BBB등급은 각각 4.0%, 7.2%이었다.

따라서 건물을 다 짓고도 팔리지 않는 상황에서 저축은행이 부동산 PF 관련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예상되는 것. 준공 후 미분양 상황이 저축은행 PF대출 연체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셈이다. 

저축은행의 경우 연체율은 안심할 만하고 충당금 등 완충 제도가 충분히 있으나, 이와 함께 유동성 능력에도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과제가 남는 셈이다.

고려대 경제학과 강성진 교수는 “PF 부문 걱정이 있다”면서 “유동성 준비가 상황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 교수는 “지금 연체율이 심하게 오르지 않는 상황이긴 하지만, 유동성 관리를 위해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부실사업장을 선제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런 상황에서 금감원은 금융위원회와 함께 부동산 PF 부실 우려와 관련 감시를 강화한다. 당국은 저축은행을 포함한 전체 상호금융권 PF 사업장 현황 자료를 1개월 단위로 요청하고 사업장 부실 발생 시 관련 정보를 빠르게 공유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