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로 드론을 활용한 인공지능(AI) 화재감지 서비스를 공인기관으로부터 검증 받았다.
LG유플러스는 2일 U+스마트드론을 통한 AI 화재감지 서비스가 국제공인시험기관 방재시험연구원의 검증을 받았다고 밝혔다. 드론이 화재를 찾아내는 기기로 인정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는 설명이다.
U+스마트드론은 기체에 이동통신 및 원격제어 기능을 활용해 비가시권 원격관제와 실시간 영상전송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수동 조작이 아닌 정해진 경로로 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5G·LTE 통신으로 제어 거리에 제한이 없다. 또 촬영되는 영상은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PC, 모바일을 통해 실시간 다중 시청이 가능하다.
AI 화재감지는 여기에 Edge 기반의 AI 영상 분석 엔진과 열화상 카메라가 더해진 임무형 드론 서비스다.
U+스마트드론은 원거리 AI 화재감지 기술을 통해 불꽃과 연기를 먼저 감지하고, 열화상 카메라의 실시간 온도 스캔 기술로 실 온도를 측정해 스스로 화재 여부를 판단한다.
LG유플러스는 U+스마트드론이 현재 99.9% 이상에 달하는 높은 검출률을 보이고 있으며 약 3분 만에 총 면적 2만4000㎡(7260평)의 탐지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LG유플러스 전영서 기업서비스개발담당은 “국제공인시험기관을 통해 U+스마트드론의 화재 예방 역할을 공인받게 돼 기쁘다”라며 “그동안 치안 확보, 군사작전 수행, 해양 사고 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돼 온 것처럼 화재 예방 영역에서도 고객들이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꾸준히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방재시험연구원은 1986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민간 방재시험연구기관으로 1995년 국내 최초로 화재 안전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으로 인정받았다. 현재 400여 종의 첨단 시험연구 장비와 전문 인력을 활용해 종합적인 방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관련기사
- LG유플러스, 의료정보시스템에 양자내성암호 적용 ‘보안 강화’
- LG유플러스, ‘양자내성암호’ 상용화 돌입…산업‧의료 분야 전용회선 구축
- LG유플러스, 자율주행 ‘전기버스’ 선보인다…국내외 전문업체들과 MOU 체결
- LG유플러스, 추석 앞두고 협력사 납품대금 조기지급…2000여곳 520억원
- LG유플러스, 한국에머슨과 5G 원격관제 솔루션 ‘W-Box’ 출시
- 추혜선, LG유플러스 자문 결국 사임…“큰 실망 드려 죄송, 성찰과 자숙의 시간 보낼 것”
- LG유플러스, 광복절 맞아 여성 독립운동가 감사 캠페인
- LG유플러스, 서울시 공유자전거에 ‘LTE-M1’ 통신기술 제공
주요기획: [도시 개발의 그림자, 구룡마을], [新중독 보고서], [디지털 신곡(神曲)]
좌우명: 시민의 역사를 기록하는 기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