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정부가 포스트코로나 이후의 항공교통 확산을 대비하기 위해 항행안전시설 발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2일 국토교통부는 ‘제1차 항행안전시설 발전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전날 항공정책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계획에는 ▲첨단 항행시스템 개발구축 ▲항행안전시설 확충·현대화 등 4대 전략이 포함됐으며 16개 단위과제와 105개 세부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사업 추진 기간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이어지며 국토부와 공항공사의 예산 4766억원이 투입된다. 

항행안전시설은 통신, 인공위성, 불빛, 전파 등을 이용해 항공기이착륙 등 운항에 필요한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핵심안전 시설을 말한다. 

한국과 같이 좁은 영공에서 증가하는 항공교통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첨단 항행안전시설의 역할이 중요하다. 

실제 국내 항공교통량은 지난 10년간 1.8배 늘어났으며 포스트코로나 시대가 도래하면 종전 84만대 수준을 회복하는 것은 물론 2025년에는 100만대 이상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항공기 100만대 운항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유·무인기간 조화로운 항행기반을 마련하고 첨단 항행시설에 대한 개발·수출도 지원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김용석 항공정책실장은 “세계 각국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항행안전시설을 고도화하는 한편, 세계 표준을 선점하기 위해 기술 경쟁을 가속화 하고 있어, 우리도 경쟁에 앞서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라며 “향후 이행을 위한 전담조직(TF) 구성, 법적 근거 마련 등 세부 과제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