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대졸자 43.8%, 서울·경기서 첫 직장 구했다
85개 청년정책 사업 추진…충북행복결혼공제 호평
내년부터 과학인재국 청년인재육성과가 전담 맡아

청년문제는 중앙정부만의 일이 아니다. 중앙보다 시민의 삶에 더 밀착해 있는 지방정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도 중요하다. 지자체가 나서면 중앙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도 정책의 수혜가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방자치시대가 열린지 30년이 지난 현재, 지자체는 단지 중앙정부 사업을 보조하는 역할에서 점차 새로운 정책을 입안해 한 발자국 앞서가는 역할로 전환되고 있다. <투데이신문>은 청년문제를 집중 조명하는 한편, 현재 광역지자체의 청년정책을 살펴보고 앞으로 더욱 역할을 확대해야할 분야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충북농업기술원은 강소농 민간전문가를 투입해 지역 청년농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현장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제공=충청북도]
충북농업기술원은 강소농 민간전문가를 투입해 지역 청년농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현장 컨설팅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제공=충청북도]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충청북도는 과학인재 육성을 중심으로 충북 맞춤형 청년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나아가 청년의 삶에 더 밀접한 정책을 선보여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효과를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충청북도에서 대학교를 졸업한 사람 10명 중 4명은 수도권에서 첫 직장을 구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충북연구원이 지난달 30일 밝힌 충북인포그래픽스를 보면 2019년 기준 충북 대졸자 중에서 첫 직장이 서울 및 경기지역인 비율이 43.8%로 충북지역(36.2%)보다 높았다. 이는 충북연구원 충북정책개발센터가 한국고용정보원의 201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다.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간 취업률 추이를 보면 충북지역 취업률은 2016년 66.2%(전국 67.7%), 2017년 64.4%(전국 66.2%), 2018년 67.7%(전국 65.8%), 2019년 65.8%(전국 67.1%), 2020년 64.4%(전국 65.1%)로 모두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충북 대졸자의 첫 직장 월평균 근로소득은 100~200만원 40.8%, 200~300만원 33.6%였다.

충북정책개발센터는 “충북의 청년인구는 2000년 37만3000명에서 올해 26만1000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라며 취업 및 고용, 교육기회, 문화기반시설, 기반시설의 부족 등을 원인으로 꼽았다. 그러면서 “지역 핵심 인적자본인 청년인구의 유출은 지방소멸 위기를 가속화시킨다. 청년인구의 정주여건을 개선하려면 산발적인 지원정책보다는 지방기업에 대한 취업 지원, 주거공간·문화생활인프라 확충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충북도는 19~39세 청년층의 순유출이 2019년 2373명, 2020년 2755명, 2021년 2467명으로 최근 3년간 꾸준히 20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행정안전부가 연평균 인구증감률, 청년순이동률 등을 감안해 충북 제천시, 보은군, 옥천군, 영동군, 괴산군, 단양군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이에 옥천군은 충북지역 시군 중에서는 최초로 청년지원수당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옥천군 기획감사실 관계자는 “확정된 안은 아니지만 24세 청년에게 6월과 12월 두 차례에 걸쳐 50만원씩 지역상품권을 지원하는 방안을 1안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귀띔했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충남 논산시, 청양군 등이 청년수당을 지원하고 있다.

충북도는 올해 청년정책에 1393억3700만원의 예산을 배정해 5대 분야 85개 사업을 추진했다. 우선 일자리 분야에는 44개 정책과제에 553억원의 예산(도비 164억원 포함)을 투입해 충북 전략산업, 청년친화기업, 강소기업, 미래 유망기업 등에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을 지원했다. 

또, 재직 청년 노동자들의 직무 적응, 경제적 부담 경감 및 중소기업 장기근속을 지원하고자 ▲충북행복결혼공제 ▲성장촉진지역 청년근로자 근속지원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 교통비 지원에 나섰다. 

이 중 충북행복결혼공제란 중소(중견)기업 청년노동자와 청년농민이 5년동안 매월 일정액을 적립하면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이 매칭적립해 기간 내 결혼 및 근속 시 만기 후 목돈을 지급하는 제도다. 기본적으로 청년노동자가 매월 30만원을 부담하면 도·시군 30만원, 기업 20만원을 매칭해 총 80만원을 적립하도록 구성돼 있다. 충북도 청년정책담당관 백준화 청년정책팀장은 “지난 2018년부터 추진 중인데 내년까지 1500명 지원을 목표로 했다. 반응이 좋아서 실제 수혜를 입은 청년은 1941명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충북도는 청년창업에도 ▲청년소상공인 창업성장 지원 ▲청년 창업 스타트업 브릿지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 ▲청년농업인 스마트팜 기반 조성 등을 진행했다. 또, 청년 창업지원자금 융자지원을 통해 20억원 규모의 창업지원도 나섰다.

특히 신기술, 4차 산업혁명 등 미래형 핵심인재 양성 분야는 집중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ICT이노베이션 스퀘어 확산사업으로 AI 실무형 전문인재 양성에 나서는 한편, 충북 VR·AR 제작거점센터에서는 VR/AR 융합 콘텐츠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이차전지 실무 인력양성을 위한 기업수요 맞춤형 이차전지 전문인력양성사업도 추진했다.

현재 충북도 청년정책 전담부서인 청년정책담당관은 내년부터 청년인재육성과로 명칭을 변경해 과학인재국으로 이관된다. 과학인재 육성의 산업연계성을 한층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청년인재육성과에는 인력양성 연구개발업무를 맡은 신성장연구팀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충청북도는 지난달 1일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제2차 충북 청년정책 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 수렴 등 토론을 진행했다. [사진제공=충청북도]
충청북도는 지난달 1일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열고 제2차 충북 청년정책 기본계획안에 대한 의견 수렴 등 토론을 진행했다. [사진제공=충청북도]

내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충북지역 청년정책의 근간이 될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안은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일자리, 교육, 복지문화, 참여-권리, 주거 등 청년의 삶과 밀접한 모든 분야를 포괄하는 종합계획으로 구상 중이다. 백 팀장은 “현재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마무리하고 부서의견을 받고 있다. 내년 1월경에는 확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충북도의회도 지역청년 지원을 위한 제도정비에 발빠르게 나서고 있다. 지난 3월에는 청년 일자리 사업 지원의 근거가 되는 충북 청년 일자리 창출 촉진에 관한 조례안(대표발의 더불어민주당 최경천 도의원)이 도의회를 통과했다. 이어 9월에는 지역 내 자립준비청년 지원을 목적으로 한 충북 자립준비청년 등의 자립 지원 조례가 도의회에서 의결됐다. 

이 조례안은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사업의 추진과 예상 지원의 근거를 규정하고 자립지원 컨트롤타워 역할을 담당할 충북자립지원전담기관 설치와 민관거버넌스 기구 구성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조례안을 대표발의한 국민의힘 안지윤 도의원은 “자립준비청년들이 지역사회에서 홀로서기를 안정적으로 시작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