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5대 시중은행 횡령 규모 약 992억원

2019~2023년 7월말 기준 5대 시중은행 금전사고 발생액과 회수율 [사진출처=윤창현 의원실, 투데이신문 편집]
2019~2023년 7월말 기준 5대 시중은행 금전사고 발생액과 회수율 [사진출처=윤창현 의원실, 투데이신문 편집]

【투데이신문 박중선 기자】 은행권을 중심으로 대규모 횡령사고가 잇따라 발생했지만 회수율은 10%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올해 7월까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발생한 사고액은 약 992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우리은행의 620억원대 직원 횡령 사고와 KB국민은행 경남지점에서 발생한 약 150억원(현재 수사기관 수사 중으로 손실 금액 미확정에 따른 금융감독원 보고 기준)대의 부동산담보대출 서류 조작 사고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잇따르는 금융권 횡령 사고로 금융당국의 내부통제 강화 요구가 있었지만 올해도 신한은행에서 7억원대의 고객 예치금 횡령이 발생했으며,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도 각각 4억, 5억원대의 금융사고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금전사고는 고객 예금 및 시재금 횡령이 가장 빈도가 높았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은행 임직원 횡령 사건의 원인에 대해 “은행 임직원의 준법의식 취약 및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은행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못한데 기인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개선 TF’를 운영하는 한편 ‘금융회사 내부통제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사고 발생액 중 회수된 금액은 108억2500만원으로 회수율은 약 10.9%에 불과했다. 사고 발생 인지 시점이 늦고, 이에 따른 후속 조치도 지연되면서 회수율이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하나은행의 경우 회수율 76%로 대부분의 사고액의 환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현 의원은 “수년에 걸쳐 횡령 등 금전 사고가 반복되고 있지만 적발은 ‘빙산의 일각’으로 의심되고 회수 역시 대단히 미흡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에 대한 신뢰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 때까지 은행은 고객 자금을 취급하는 담당자에 대한 명령 휴가 제도를 대폭 확대하고 금감원은 실효성 있는 제도운영을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