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설, 올 초부터 수차례
M&A성사되면 가입자수 750만명, 단숨에 업계 1위
정부 승인이 남은 과제…SK 못 넘은 독과점 논란

LG유플러스와 CJ헬로의 인수합병설이 재점화 됐다. ⓒ뉴시스
LG유플러스와 CJ헬로의 인수합병설이 재점화 됐다.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합병설이 다시 수면위로 올랐다. 사측은 이에 “사실 무근”이라는 입장을 내놨지만 올해 안에 M&A가 이뤄질 것이라는 데에 무게중심이 실리고 있다. 하지만 과거 SK텔레콤이 CJ헬로 인수를 추진할 당시 독과점 논란이 불거져 정부로부터 승인 불허를 받았던 만큼 LG유플러스도 이 문제에서 자유롭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CJ헬로의 대주주인 CJENM과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논의를 이어온 CJ헬로 인수합병 논의를 연내 확실시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설은 올 초부터 수차례 수면위로 올랐다. 그만큼 유료방송업계에서 주목받는 이슈라는 방증이다. 최근에는 지난 9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인수합병 최종 확정설이 돌기도 했다. 이 내용에 따르면 양측은 협상을 이미 마무리 했으며 LG그룹의 승인단계만 남기고 있는 수준까지 협의가 진척됐다. 

지난 1월에는 LG유플러스와 CJ헬로가 양해각서(MOU)를 맺고 거래 종결 방안 협의에 돌입했다는 보도들도 쏟아져 나왔다. LG유플러스가 CJ오쇼핑(현 CJENM)이 갖고 있는 CJ헬로 지분 전량 53.29%를 1조원 안팎에 매입해 인수절차에 들어갈 계획이라는 것이다. 

업계 내외에서 이들의 인수합병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CJ헬로가 LG유플러스에 편입되면 단숨에 유료방송시장 가입자수 1위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유료방송시장 가입자수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업계 4위 LG유플러스는 341만5855명, 업계 3위 CJ헬로는 410만8644명으로 나타났다. 둘의 합병이 성사된다고 가정하면 가입자는 750만명을 넘어선다. 이는 업계 1위 KT의 633만9759명을 훨씬 웃도는 수준이다. 

하지만 양측이 인수합병 계획을 확정한다고 해도 넘어야할 산은 남아있다.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한 방송통신위원회, 과기정통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것이다. 

공정위는 과거 SK텔레콤이 당시 CJ헬로비전을 인수하려 할 때 이동통신 시장에서 지배적인 지위를 갖고 있는 두 회사가 합병할 경우 시장의 독과점이 우려된다며 이를 불허한 바 있다.

공정위의 결정은 CJ헬로비전이 방송 권역에서 이미 독과점적인 지위를 갖고 있는 만큼 두 거대회사의 결합이 자유로운 시장경쟁을 침해할 수 있다는 취지에서 나왔다. 실제로 방통위에 따르면 당시 CJ헬로비전은 전국 23개 방송 권역 중 19곳에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 역시 이 같은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처지다. 두 기업이 합병을 이루면 2017년을 기준으로 유료방송시장 점유율은 23.99%가 될 것으로 추정되는데 여기에 KT와 KT스카이라이프를 합친 점유율 30.51%를 더하면 과반을 넘어선다. 경쟁업체인 SK브로드밴드의 점유율은 13.65%에 그치는 수준이다. 

이밖에 CJ헬로의 매각가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현재 업계에서는 9000억원 수준에서 인수가격이 거론되지만 CJ헬로의 실물가치는 적게는 1조4000억원에서 많게는 2조5000억원까지 입에 오르고 있다.   

LG유플러스 이번 인수합병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날 <투데이신문>과의 통화에서 “케이블 TV와의 인수합병에 관심을 갖고 검토하고 있는 수준인 건 맞지만 특정 회사를 찍어서 협의하고 있는 건 아니다”라며 “공시한 내용 외에 결정된 사안은 없다고 정확히 말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다만 “CJ헬로 역시 케이블 TV업계에 속해 있고 주요한 매물인 만큼 검토 대상 중 하나라는 건 당연하지 않겠냐”라고 덧붙였다. 

앞서 LG유플러스는 8월 공시를 통해 “당사는 케이블TV 인수와 관련해 특정업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도로 검토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결정된 사항이 없다”며 “향후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되는 시점 또는 6개월 이내 재공시하겠다”고 답변한 바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