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강유선 인턴기자】 특허청이 상표·디자인 심사업무에 활용 가능한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편리성 및 심사 정확도를 높인다.
특허청은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상표·디자인 이미지 검색시스템을 개발해 심사·심판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15일부터 시작한다.
기존에 상표·디자인 심사관들은 심사 건당 수천 건의 이미지를 육안으로 검색해야 했지만, 이 시스템 개통으로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심사의 정확도 및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됐다.
특허청은 시스템 구축을 위해 AI 학습 데이터로 자체 보유한 200만건 이상의 상표·디자인 이미지를 활용하고, 2년간 연구실증·구현 및 시범운영 등을 거쳤다.
이미지 검색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출원된 이미지와 선행 등록된 이미지들에 대한 비교 결과를 유사도 순으로 정렬해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복수의 형상이 결합된 이미지 속에서 세부 이미지를 인식해 검색할 수 있다. 일례로 가방 이미지 검색 시 가방 외형(디자인)은 물론 가방에 인쇄된 로고·캐릭터(상표)에 대한 유사 이미지를 한 번에 검색 가능하다.
이밖에 분류코드를 손쉽게 지정할 수 있도록 AI가 상표·디자인에 대한 분류를 자동으로 추천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특허청은 지난해 서면문서 전자화, 해외 특허문헌 번역, 특허도면부호 인식에 AI 기술 적용을 완료했고 올해는 대민상담 챗봇(chatbot), 지능형 특허 검색 및 자동 분류기술 등을 연구개발 하고 있다.
박종주 특허청 정보고객지원국장은 “AI, 빅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식재산행정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