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한국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고용률이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37개국 중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OECD 여성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 2019년 기준 한국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0%, 고용률은 57.8%로 조사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OECD 37개국 중 나란히 33위, 31위를 기록하는 등 하위권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여성고용률은 알파벳 ‘M’자형 곡선을 보였다. 25~29세 71.1%로 가장 높았던 그래프는 30~34세 구간에서 64.6%, 35~39세 구간에서는 59.9%까지 떨어졌다. 이는 주요5개국(G5,미국‧독일‧영국‧프랑스‧일본)의 여성 고용률이 20~40대까지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50대에 진입하며 감소하는 모양새와 차이를 보였다.

툭히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경우 G5 국가들보다 한국에서 취업하기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한국의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고용률은 57%로, G5 평균(72.2%)보다 15.2%포인트 낮았고, 여성고용률이 가장 낮은 미국(70%)과 비교해도 13.0%포인트 낮았다.

한국 여성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65%가 육아·가사 부담을 지목했다.

G5 국가들은 시간제 고용이 활발한데다 선택적 근로시간제 정산기간을 확대해 일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유연한 근로환경을 조성했다. 2019년 기준, G5의 전체 근로자 대비 여성 시간제 고용 비중은 평균 14.9%로, 한국(8.9%)의 1.7배에 달한다.

반면 한국의 여성경제활동지수는 OECD 33개국 중 32위로 최하위권을 차지할 정도로 여성의 취업환경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GDP 대비 모성보호 관련 공공지출 비중은 0.4%로 G5 평균(1.5%)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고, 한국의 성별 임금 격차는 32.5%로, G5 평균(17%)의 약 2배에 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2019년 한국의 30대 여성고용률이 25~29세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31.8만명의 고용손실을 막을 수 있다”며 “G5 국가 사례에 비춰보면 여성 경력단절을 막기 위해서는 보육시설을 확충하고 육아휴직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유연한 근로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