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태섭-김종인, 16일 모처에서 만남 가져
금태섭 신당 논의 만남이 될 것으로 예측
윤석열까지 합류한다면 엄청난 파급력
국민의힘, 노심초사하는 분위기 보여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금태섭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창당을 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금 전 의원의 창당에 대해 눈 여겨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도 합류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돌고 있다. 따라서 금태섭 신당이 향후 대권에 지대한 파급력을 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금 전 의원이 국민의힘이 아닌 독자 신당 창당을 꿈꾸고 있고, 그것이 야권 지형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김종인-금태섭의 만남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오는 16일 금 전 의원을 만난다. 김 전 위원장이 금 전 의원에게 먼저 연락해 만남을 제안했다는 것이 양측의 설명이다.
김 전 위원장이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자리에서 내려온지 하루만에 국민의힘을 “아사리판”이라면서 맹공을 퍼부었다. 그리고 “국민의힘으로 다시는 돌아가지 않는다”면서 먹던 우물에 침을 뱉었다.
그리고 금 전 의원과의 만남을 추진한 것이다. 이는 금 전 의원의 신당 창당에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 자리에 내려왔고, 자연인으로 돌아갔지만 정치권안팎에서는 김 전 위원장이 내년 대선에서 킹메이커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런데 김 전 위원장이 국민의힘으로 다시는 돌아가지 않겠다고 선언한 이상 이제 남은 선택지는 금태섭 신당 이외에는 없다.
따라서 김 전 위원장이 금 전 의원을 만나게 된다면 신당 창당 논의는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금 전 의원으로서도 김 전 위원장이 신당 창당에 합류를 한다면 그만한 파급력이 있기 때문에 거절할 이유는 없다. 금 전 의원으로서도 나쁘지 않는 일이기 때문에 김 전 위원장을 만나 신당 창당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정치권에 지각변동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윤석열 합류 가능성은
여기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합류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 전 위원장은 윤 전 총장이 금태섭 신당에 가는 상황이 전개될지도 모른다고 예상했다.
윤 전 총장으로서도 국민의힘에 들어가는 것은 ‘자살행위’나 마찬가지다. 왜냐하면 이미 조직력이 공고화된 국민의힘에 들어가서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은 약하기 때문이다.
반면 금태섭 신당은 아직 조직력을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윤 전 총장의 정치적 행보는 더욱 넓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특히 킹메이커 김 전 위원장이 금태섭 신당에서 활동을 한다면 국민의힘보다는 금태섭 신당에서 대권 도전을 하는 것이 윤 전 총장에게는 이득이 될 수 있다.
만약 윤 전 총장이 금태섭 신당에 합류를 하게 된다면 ‘금태섭-윤석열-김종인’으로 잇는 삼각편대가 완성된다.
이것이 정치권에 상당한 파급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국민의힘은 현재 내분에 휩싸였다. 자강론과 외부 영입론 사이에서 팽팽한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외곽에서 금태섭 신당이 출현하게 된다면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원심력이 작동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즉, 탈당을 결행할 의원이 속출할 수도 있다.
특히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구심력을 발휘할 카리스마가 있는 당 대표가 선출되지 못하는 상황이 전개된다면 국민의힘에서 탈당할 의원들이 많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파급력 약할 수도
하지만 또 다른 일각에서는 금태섭 신당이 의외로 파급력이 없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다. 국민의힘이 아무리 과거에 비해 약해졌다고 하지만 탄탄한 조직력을 갖추고 있는 정당이다.
그것은 이번 재보선 야권 단일화 과정에서 드러났다. 국민의힘이 하나로 뭉쳐서 대동단결한다면 금태섭 신당의 파급력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즉, 금태섭 신당이 창당된 후 야권 주도권 경쟁에서 국민의힘에게 밀리기 시작한다면 그 파급력은 급격히 약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것은 결국 ‘금태섭-윤석열-김종인’ 삼각편대가 어떤 식의 정치적 행보를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금태섭 신당의 존재가 야권에게 어떤 식으로 다가올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다.
다만 이제 야권 재편의 신호탄이 쏘아올려졌다는 점이다. 금 전 의원과 김 전 위원장의 만남, 여기에 윤 전 총장도 합류를 한다면 상당한 파급력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