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원 1명당 평균 9만주 부여...직원은 4000주 그쳐
서호성 행장 등 임원 대부분 올 상반기 외부 영입
“전 직원 나눌 것처럼 말장난” 내부불만 ‘솔솔’
케이뱅크 “성과보상과 더불어 동기부여도 목적”

케이뱅크 본사ⓒ뉴시스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부여하기로 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이 올해 새로 구성된 임원들에게 집중되면서 직원과의 형평성을 두고 뒷말이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지난 9일 주주총회를 열고 320명 임직원에게 보통주 210만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부여하기로 결정했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14일 공시를 통해 공개됐다.

이번에 부여되는 스톡옵션 주당 가격은 6500원으로 2023년 7월 9일부터 2028년 7월 9일까지 행사 가능하다. 행사조건은 대상자별로 일부 차이는 보이지만 대체로 의무복무기간 2년, 자기자본 2조원과 법인세차감전이익 1000억원 달성 등의 단서를 달고 있다.

다만 부여된 스톡옵션 규모는 임원과 직원 차이가 있다.

이번에 공시된 대상자별 부여내역을 보면 이풍우 사내이사를 비롯해 임원 9명에게 총 85만주가 돌아간다. 임원 한 명당 평균 9만4000주 가량 부여된 것이다.

직원 311명에게는 125만주가 돌아간다. 직원 한명당 4000여주씩 부여된 꼴이다. 임원 평균과 23.5배 가량 차이를 보인다.

지난 3월 서호성 행장에게 같은 조건으로 90만주의 스톡옵션을 부여한 것까지 더하면 경영진에게 돌아간 것은 175만주로 직원(125만주)과의 차이는 더 벌어진다.

스톡옵션이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되면서 업계 주목을 받았지만 임직원 간 지급 규모 차이를 두고 내부 불만도 예상된다.

실제로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지난 15일 ‘케이뱅크 스톡옵션 장난질 공론화’는 제목으로 내부 직원들의 불만을 담은 글이 게시되기도 했다.

글쓴이는 “전 직원에게 스톡옵션 골고루 나눠주는 것처럼 하고 있지만 말장난”이라며 “전체 210만주 중 59%를 임원들끼리만 나눠 갖고 나머지만 전 직원 나눠주면서 선심 쓰는 척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불만이 나오는 데에는 이번에 스톡옵션을 부여받은 서호성 행장를 비롯한 임원 대부분이 선임된 지 몇 달 되지 않은 경영진이라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 이번 스톡옵션 조치가 성과 보상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지금까지 케이뱅크 성장에 대한 공로가 그리 높지 않은 현 경영진에게 스톡옵션이 집중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이번에 스톡옵션 부여 대상자인 임직원들은 서호성 행장이 올해 2월 취임한 이후 합류한 인물들이 대부분이다.

블라인드 게시글 작성자는 “지금 케이뱅크가 여기까지 온 건 업비트(가상자산 거래소) 협력 때문이었을 뿐 경영진의 대단한 전략이 먹힌 건 없었다”며 “업비트 협력은 스톡옵션을 몽땅 가져간 현 임원들의 업적도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이어 “케이뱅크를 지금까지 지켜오고 버틴 것은 이제 막 합류한 임원들이 아닌 직원들이기 때문에 그 과실 또한 임원이 아닌 직원들에게 돌아가야 한다”며 “케이뱅크 내부는 지금 스톡옵션에 대한 불만으로 가득 차 있다”고 덧붙였다.

케이뱅크의 자산규모는 지난해 말 4조3000억원에서 올 3월 말 9조4134억원으로 117% 성장했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성장에 업비트와 맺은 실명확인 계좌 발급 제휴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가상자산 거래서와의 제휴는 자금세탁방지 등 사고 발생에 따른 위험성이 크다 보니 여타 시중은행에서 꺼려하고 있어 케이뱅크에게는 블루오션인 셈이다. 현재 가상자산 거래소와 계좌 발급 제휴를 맺은 곳은 케이뱅크를 포함해 신한은행(코빗)과 NH농협은행(빗썸·코인원) 등 3곳뿐이다.

케이뱅크는 익명 커뮤니티 등에서 제기된 스톡옵션에 대한 불만과 관련해 공식 입장은 자제하고 있다. 다만 이번 최대한 많은 직원에게 스톡옵션 기회를 나누기 위한 취지였음을 강조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어떤 제도든 모두가 만족할 수 있기는 어렵다”며 “이번 스톡옵션의 취지는 최대한 많은 임직원들에게 나눈다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성과보상과 더불어 향후 실적에 대한 동기부여도 주요한 목적”이라며 “이번 조치가 마지막이 아니라 앞으로 성과보상 과 관련해 추가 조치가 있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