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경기도가 올해 하반기에도 지하안전 자문단을 통해 지하공간 개발 사업장 및 지하시설물 등을 꼼꼼히 점검한다.

경기도는 26일 지하안전 전문가 자문단 ‘경기지하안전지킴이’가 올해 하반기에도 도내 ‘지하공간 개발 사업장 및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 현장 점검·자문에 나선다고 밝혔다.

지하공간을 안전하게 개발·이용하기 위한 명목으로 도가 지난해부터 적극적으로 도입·운영하고 있는 전문가 자문단 ‘경기지하안전지킴이’는 현재 건축·토목 등 총 53명의 지하안전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2018년부터 시행 중인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해 각 시군이 지하공간 개발사업 현장과 지하시설물에 대한 안전관리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앞서 상반기에는 11개 시군 소재 18곳에 소재한 지하공간 개발 사업장을 대상으로 현장자문에 나선 바 있다.

이번 현장자문은 10월 2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시행될 예정이며, 도내 소규모 지하안전영향평가 대상인 지하 10m 이상 굴착 지하공간 개발사업 현장 11곳과 더불어 상수관, 하수관 등 지하시설물 39곳이다.

기존에는 지하공간 개발사업 현장을 위주로 점검과 자문이 이뤄졌다면, 이번에는 지반침하 사고 방지 등 지하안전에 대한 사전 예방차원의 점검을 고려해 지하시설물까지 대상을 넓혔다.

지하안전지킴이는 안전관리계획 및 안전관리규정 준수 여부 등 지하개발 현장과 시설물에 대해 전문가의 점검을 실시하고 개선사항에 대한 자문을 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내년 초에는 국토안전관리원과 협의를 거친 후 도내 지반침하 사고 가능성이 예상되는 도로 40여곳을 대상으로 지표투과레이더 장비를 이용해 지반탐사 활동도 진행할 방침이다.

박종근 건설안전기술과장은 “도는 민간전문가를 통한 점검 지원을 늘리고 실효성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지하시설물 관리를 강화해 지반침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데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