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 소홀이 원인, 지난 5월엔 사망사고도 “특별관리대상 지정·엄중 처벌해야”
쌍용C&E, 사고원인 조사 중…“지시 없는데도 임의로 판단해 작업하다 사고” 해명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쌍용C&E 동해공장에서 하청노동자가 작업 중 다치는 사고가 일어나 비판 여론이 번지고 있다. 이 공장은 지난 5월에도 하청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일어난 바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강원도 동해시에 위치한 쌍용C&E 동해 시멘트 공장에서 일어난 안전사고의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이 공장에선 지난 18일 한 하청노동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손가락이 들어가며 오른손과 왼손 일부를 잃는 사고가 일어났다.
사고 원인이 안전관리 소홀로 알려지면서 쌍용C&E에 철저한 재발방지 대책과 책임을 다 해야 한다는 지역 여론이 모아지고 있다. 앞서 5월엔 같은공장에서 크레인 일부가 무너져 하청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음에도 안전사고 대처에 허점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정의당 강원도당은 21일 성명을 내고 “현장 노동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불순물 제거 시 슈트의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규칙을 무시하고 원청인 쌍용C&E에서 계속 기계를 가동했다”면서 “당시 현장엔 안전관리책임자 없이 하청 직원 5명만 있었고 2인1조 근무 수칙도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쌍용C&E는 모든 책임을 하청업체에 돌리는데 현장의 최종 책임자는 쌍용C&E"라고 강조하며 재발방지 대책과 책임을 다할 것을 촉구했다.
이어 정의당 강원도당은 “고용노동부는 쌍용C&E를 특별관리대상에 지정하고 산업안전관리법 위반과 관련해 엄중 처벌해야 한다”라며 “안전관리마저 외주화하는 ‘점검 민간위탁’은 삭제돼야 한다”한다고 주장했다. 같은날 영동권역 산업재해예방 실천투쟁단도 성명을 통해 “중대재해기업에 대한 철저한 원인규명과 대책이 절실하다. 위험의 외주화를 계속 용납하면 하청노동자의 사고를 막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쌍용C&E는 현재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쌍용C&E 관계자는 “안전점검원이 임의로 판단해 작업을 하다가 사고가 난 걸로 보고 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우리가 작업지시를 내린 게 아니라 난감하다. 사고현장과 작업이 위험해서 외주를 준 것도 아니다”라며 “현장에서 안전수칙을 강화하고 안전관리사도 선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사고를 당한 점검원은 치료가 진행 중이며 협력업체와 함께 치료 및 보상과 관련한 협의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청년정책], [탈서울 인지방], [2023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좋은주택 만들기], [건설산업 선진화], [농민권리를 외치다]
좌우명: 지난이진(知难而进)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