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김의성(앞줄 왼쪽부터), 봉준호 감독, 가수 윤종신 등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배우 김의성(앞줄 왼쪽부터), 봉준호 감독, 가수 윤종신 등 문화예술인 연대회의가 12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문화예술계가 배우 이선균 사망 사건과 관련 경찰이 적법 절차에 따라 수사했는지 조사해 달라고 요청했다.

언론을 향해서는 고인 관련 보도가 공익적 목적으로 이뤄진 것인지 자성해야 한다고 꼬집었으며, 정부와 국회에는 문화예술인 인권 보호를 위한 법을 개정한 일명 ‘이선균 방지법’을 만들어 줄 것을 촉구했다. 

문화예술인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12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故) 이선균 배우의 죽음을 마주하는 문화예술인들의 요구’ 성명서를 발표했다.

연대회의에는 영화·가요·방송 등 문화예술 관련 단체 29개가 참여했다. 여기에 배우 송강호, 김동호 전 부산국제영화제 이사장 등 문화예술인 2000여명도 힘을 더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이선균과 영화 ‘기생충’을 함께 작업했던 봉준호 감독, 고인과 두터운 친분을 쌓았던 가수 겸 작곡가 윤종신, 배우 최덕문·김의성 등과 한국영화감독조합 장항준 감독,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소속 장원석 대표 등 문화예술단체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날 배우 김의성, 봉준호 감독, 가수 윤종신, 이원태 감독 차례로 읽은 성명서에는 △수사당국 △언론 △정부·국회를 향한 요구가 담겼다.

이들은 “지난해 10월 19일 첫 보도 이후 10월 23일 정식 입건 된 뒤 약 2개월 간 이선균은 아무런 보호 장치 없이 언론에 노출됐다”며 “간이 시약 검사 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정밀 감정 결과, 사건 관련성과 증거 능력 유무 판단이 어려운 녹음 파일 등이 대중에 공개됐다”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 연대회의는 지난 2개월 간 가해진 가혹한 ‘인격 살인’이라고 규정했다.

연대회의는 “고인의 수사에 관한 정보가 최초 유출된 때부터 스스로 목숨을 끊기까지 2개월여동안 경찰의 보안에 한치의 문제가 없었는지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한다”며 “경찰 공보 책임자의 부적법한 언론 대응, 수사 업무 종사자의 적법하지 않은 답변이 없었는지 조사해서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이들은 지난 11월 24일 한 방송사가 보도한 음성 녹음 파일을 지목하며 해당 녹음 파일이 어떤 경위와 목적으로 제공된 것인지 면밀히 조사해 줄 것을 요구했다.

언론 자성에 대해서도 말문을 열었다. 연대회의는 “일부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에 대해 조속히 삭제해 주길 바란다”며 “문화예술인이 대중의 인기에 기반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이용해 이슈화에만 급급한 황색언론, 이른바 ‘사이버 렉카’의 병폐 언제까지 침묵해야 하나. 정녕 자정 방법은 없나”라고 했다.

또한 이들은 경찰이 수사 과정이 적법했다고 주장하더라도 정부와 국회가 침묵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연대회의는 “형사사건 공개 금지 원칙과 인권 보호에 관한 현행 법령에 문제점이 없는지 점검하고 필요한 법령은 개정 작업에 착수해 ‘이선균 방지법’을 만들어야 한다”며 “우리는 위 요구와 질문에 납득할 만한 답변이 나올 때까지 활동을 멈추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이어진 계획 발표에서 이들은 유사 사건 재발 방지와 입법 촉구를 위해 국회의장, 경찰청, 일부 방송사에도 성명서를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 이선균은 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상 대마·향정 혐의를 받아 지난해 10월부터 경찰 수사를 받던 중 지난달 27일 서울 종로구 소재 모 공원 은근에 주차된 차량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 첫 소환 당시 이선균은 소변을 통한 간이 시약 검사와 뒤이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1차(모발)·2차(겨드랑이털) 정밀검사에서도 음성 판정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또한 세 차례의 경찰 소환 조사에서 혐의를 일관되게 부인한 바 있다.

그의 죽음 이후 일각에서는 마약 혐의와 연관성이 적은 사생활 폭로 보도와 경찰의 잦은 공개 소환 등이 심적 괴로움을 준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