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협회 “중국 수출 감소, 수출국다변화로 대응”

정유업계 국가별 주요 석유제품 수출물량 현황 [자료제공=대한석유협회]
정유업계 국가별 주요 석유제품 수출물량 현황 [자료제공=대한석유협회]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국내 정유4사 등 정유업계가 지난해 전 세계 70개국에 석유제품을 수출하며 2년 연속 수출국 수를 늘렸다. 중국으로의 석유제품 수출이 감소하는 가운데 수출국다변화로 대응전략을 모색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한석유협회는 25일 지난해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HD현대오일뱅크 등 정유업계가 70개국에 석유제품 총 4억6672만 배럴을 수출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58개였던 수출국은 2022년 64개, 지난해 70개로 2년 연속 증가했다.

석유협회는 이처럼 수출국이 늘어나는 이유로 대중국 석유제품 수출 감소를 꼽았다. 중국은 2016년 이후 6년 연속 최대 수출국이었다. 그러나 중국 내 석유제품 자급율 상승으로 중국 수출액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7.5%까지 급감했다.

현재 중국의 빈자리는 호주가 대체하고 있다. 호주는 지난 2021년 무렵부터 BP, 엑슨모빌 등이 호주 내 정유공장을 폐쇄하며 전체 정제설비의 50%가 감소한 상황이다. 이에 그 부족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국내 정유사들이 발빠르게 수출물량을 늘리면서 2년 연속 수출국 순위 1위에 올라 있다.

지난해 석유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41%), 휘발유(21%), 항공유(18%), 나프타(8%) 순이다. 특히 휘발유는 미국 수출이 곱절 가까이 증가해 역대 최대 수출량인 9986만배럴을 기록했다. 항공유 수출 역시 일본(지난해 대비 62.5% 상승), 호주(지난해 대비 55.9% 상승) 등을 위주로 상승하는 추세다.

올해도 경기침체 여파가 지속될 전망이지만 항공 부문은 성장세가 전망돼 국내 정유업계의 대응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올해 항공 여객수가 사상최대인 47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내년 EU부터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이 의무화 돼 국내 정유업계도 SAF 수요확대에 대한 전략 수립에 분주한 모습이다.

석유협회는 국내 정유업계의 이같은 수출확대 노력이 국가 무역수지 적자해소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정유업계는 원유도입액 806억달러 중 석유제품 수출로 58%인 463억7000만달러를 회수했다. 이는 지난 2022년 60%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회수율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지난해 국가 주요 수출품목 통계를 보면 석유제품은 수출액 521억6000만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8.2%를 점유하고 있다. 이는 반도체(986억3000만달러), 자동차(708억7000만달러), 일반기계(534억6000만달러)에 이어 4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석유협회 관계자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대응한 국내 석유산업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내 SAF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며 “정유업계는 올해도 정유산업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수출 및 수출국다변화로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