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최근 홈플러스가 안산점과 대전 탄방점에 이어 대전 둔산점까지 폐점하며 자산유동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대규모 실업 사태 우려에 대해서는 고용 보장에 나설 것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노동조합은 실질적 대책이 없는 원론적 답변이라며 강하게 불신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전날 대전 둔산점의 자산유동화가 확정됐다고 밝혔다. 앞서 홈플러스는 실적 악화로 인해 3개 점포를 매각하겠다고 발표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6월 실적발표에서 오프라인 유통업 불황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영향으로 급격한 매출감소가 이어지며 FY2019 매출액이 전년 대비 4.69% 감소한 7조3002억원, 당기순손실은 532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힌 바 있다.
코로나19로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 수가 감소하는 등 불확실한 사업 환경이 지속되자 홈플러스는 점포 자산유동화를 통해 안정적 경영과 유동성 확보 계획을 세웠다는 설명이다. 이에 지난 7월 확정된 안산점, 대전 탄방점에 이어 대전 둔산점까지 매각이 확정되며 홈플러스는 자금 상황에 다소 숨통이 트였다는 입장이다.
홈플러스는 이번 대전 둔산점 자산유동화로 직원과 점주들이 최소 1년 이상의 적응 기간을 두고 영업을 유지할 수 있게 노력함과 동시에 인력 고용은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홈플러스 노조는 홈플러스의 자산유동화와 고용보장 약속에 비판의 시선을 드러냈다. 앞서 매각 결정이 난 안산점이 매출이 높은 알짜 매장인데도 충분한 근거 없이 폐점이 결정됐고, 해당 자리에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이하 노조)는 최근 성명을 내고 이 같은 점포 매각이 홈플러스 최대 주주인 사모펀드 MBK파트너스의 ‘부동산 투기’ 행태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홈플러스의 자산유동화와 관련해 노조가 특히 우려하는 점은 노동자들의 실업사태다. 노조 측은 홈플러스가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교과서적인 답변만 내놓을 뿐 구조조정에 대한 실질적 대책은 없다고 꼬집었다.
노조 관계자는 “홈플러스 측이 내놓고 있는 인력 유지 주장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원론적인 답변이고 실질적 대책은 없다”라며 “현재 폐쇄 점포 주변 점포 상황을 고려하면 제대로 된 고용 보장은 불가능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매각이 결정된 대전 탄방점과 둔산점은 대전 시청을 사이에 두고 직선거리가 1.5km로 매우 가까운데, 같은 구역 내 두 개 매장 동시 폐점으로 인해 직원의 전환 배치가 어려운 상황이다”라며 “수백명의 직원이 타 점포로 이동 시 원거리 점포에 배치될 가능성이 높기에 고용보장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홈플러스 측은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은 절대 없을 것이라는 방침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대전둔산점의 영업이 안타깝게 종료되지만 인력에 대한 구조조정은 절대 없다”며 “각 사업장들의 현황과 직원들의 출퇴근 거리까지 고려해 면담을 진행해 전환배치에 따른 직원 불편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홈플러스는 해당 직원들의 인근 점포 전환배치 외에도 온라인 사업 등 유통 트렌드에 맞춰 성장세를 보이는 사업부문으로의 이동 등을 고려 중이다”라며 “자산유동화는 대형마트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이며 부동산 투기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주요기획: 김효인기자의 내맘대로 레트로 시리즈, 물티슈의 배신 시리즈, 젠더 이코노미 시리즈
좌우명: 盡人事待天命(진인사대천명)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