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사진 제공 =서울시>

【투데이신문 강유선 인턴기자】 지난해 서울시 119구급대로 이송 중이던 471명의 심정지 환자가 소생됐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27일 지난해 119구급대의 응급처치를 통해 이송된 심정지 응급환자 3967명 중 471명의 심장기능이 병원에서 의료진에 인계되기 전 회복됐다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119구급대의 응급처치를 통해 이송되는 심정지 환자 중 병원 인계 전 심장기능을 회복하는 비율을 뜻하는 자발순환 회복률은 지난해 11.9%로 조사됐다. 

2018년과 2019년 각각 10.2%, 11.7%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인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자격자 채용 및 응급처치 직무교육 강화와 특별구급대 운영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왔다.

특별구급대에는 간호사 또는 응급구조사 1급 자격을 충족한 대원 가운데 특별교육 과정을 마친 대원이 탑승하며, 서울시내 24곳에서 운영 중이다. 

또 신고접수 단계부터 이송까지의 구급활동정보에 대한 평가·환류 과정을 거쳐 구급서비스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심정지 및 중증외상 관련 구급활동은 평가과정에 의료전문가가 참여해 개선이 요구되는 사항은 119구급대 및 의료계에 공유하고 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심정지 환자의 경우 4분이 지나면 생존율이 10% 아래로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심정지 상황 목격 시 신속한 119신고와 더불어 심폐소생술 시행·자동 심장충격기 사용 등이 매우 중요하다”고 전했다.

심폐소생술 교육은 가까운 소방서 등에서 신청가능하며, 현재는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에 따라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교육을 이수할 수 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119구급체계의 전문성을 한층 더 강화 하겠다”고 말하며 심폐소생술활성화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