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기순이익 감소 기류...PF 문제·ELS 이슈 등 부담 커져
은행 주도 이익 형성 기류 변화 불가피...사회적 책임론↑

주요 은행들 사옥 전경 [사진제공=각사]
주요 은행들 사옥 전경 [사진제공=각사]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국내 5대 금융그룹이 계열 은행들의 견조한 이자수익에 힘입어 지난해 17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시현한 가운데,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같은 상황의 유지 가능성에는 회의적 분석이 대두된다. 이는 각종 현안은 물론, 금융그룹 시스템의 체질 개선 문제 등도 맞물리는 부분이라 더 관심을 모은다.  

금융권의 발표 내용을 종합하면 지난해 KB금융과 NH농협금융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증가했고, 신한·하나·우리금융은 감소했다.

지난해 KB·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금융지주가 올린 순이익은 총 17조2025억원이다. 재작년 거둔 17조7618억원에서 3.1%(5593억원) 감소한 규모라는 점에서 감소세 아니냐는 소리도 있지만, 내막을 보면 역대급 실적으로 보는 게 더 정확하다.

왜냐 하면 조달비용이 늘었지만 대출이 증가한 영향을 받아 큰 이자이익을 거뒀기에 이런 실적이 가능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며, 5대 은행이 민생금융지원에 1조원선을 지출한 점(2월 캐시백 기준)까지 감안할 필요도 있다. 그래서 지난해 실제 이익규모를 더 잡아야 한다는 점은 전체적 국면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다. 

이자이익의 이 같은 거대한 규모는 금리 이슈 때문. 은행권은 최근까지 이어진 미국 당국의 금리 패턴에 따라 금리상승 기류를 오래 누렸다. 물론 현재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동결에 나섰고 향후 피폿, 즉 금리 인하로의 전환이 전개될 가능성이 제시된다. 문제는 이러한 조치의 시점에 대한 의문론이 한쪽에서 대두되고 있고, 기준금리가 동결 내지 하향 조정돼도 바로 소비자의 대출금리가 반영 조정되는 속도와는 상당한 차이가 나는 현상이 한국 금융권에 조성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는 점이다. 

금리상승과 함께 대출채권 증가가 큰 이자이익 조성 배경을 만들어 온 상황에 대해서는 그런 점에서 사회적 비판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서민들을 배려하는 대신 편하게 은행 이해관계에만 매달려 이익을 낸다는 여론이 퍼지고 있는 것.

아울러, 이른바 조달 비용 상승에도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대출이 늘면서 이자이익이 증가했다는 점에서 경제 성장 동력을 은행권이 갉아먹는다는 비판까지도 대두된다. 5대 시중은행의 총영업이익은 44조3262억원으로, 이자이익이 93.4%를 차지한다. 여러모로 정상적인 상황은 아니라는 해석이 나온다. 절대치를 이자장사로 거둬들이는 셈이기 때문. 

이에 따라 올해는 이자이익을 줄여야 하는 쪽으로 분위기가 냉각될 전망이다.

이자 상승기가 사실상 마무리 단계인 것에 그치지 않고, 지난 이익 효과를 반영해 더 큰 소비자 배려를 하라는 사회적 주문이 은행권에 쏟아질 수 있는 것.

손실을 메워야 하는 부담도 커진다. 부동산 영역 위축으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은 기정사실화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의 대규모 손실을 어떻게 배상해야 하는지도 은행권을 올해 괴롭힐 것으로 보인다. H지수 ELS'에서 연초부터 50%가 넘는 손실률을 내는 것으로 파악돼 은행권은 물론 당국도 긴장 중이다.

체질 개선이라는 거대 담론도 여전히 유효한 화제다. 은행이 선전해 증권, 카드사 등이 부진한 것을 메우는 구조에 만족해 왔기에 이자이익을 과도하게 내는 경향이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며, 이런 시스템이 이제 더 이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그룹 당기순이익에서 은행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에 달한다. 재작년에는 75%가량이었음을 고려하면 사정은 더 악화돼 온 셈이다.

은행권의 이자이익 매몰 경향을 깨려면 비은행 영역의 강화 및 인수합병(M&A)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점이 더 부각되고 있다. 비이자수익 증대를 위해 비금융 사업 진출이 필수적인 사정은 세부적 색채는 달라도 주요 금융그룹 모두에 공통 과제다. 지난해 미지근했던 비은행권 M&A에 추가적 움직임이 나올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