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경기도 버스가 10번 중 3번은 정류장에서 정차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연구원은 23일 버스 무정차 문제 현황 및 해결방안을 담은 ‘버스 무정차에 관한 동상이몽, 해법은 무엇인가?’ 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원은 지난해 10월 도내 2019개 노선 내 2만2368개 정류장을 대상으로 승객 확인 등을 위해 서행했을 경우 정차했다고 판단하는 방식으로 무정차 현황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시내버스들이 405만6000회 정류장을 경유하면서 126만8000여회 서행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른 무정차율은 31.3%다.

도시 유형별 무정차율은 △대도시 26.1% △중소도시 30.3% △도농복합시 41.2% △군(郡) 지역 64.0%로 대도시보다는 농촌과 군 지역의 무정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4월에는 도내 이용자와 버스기사를 대상으로 버스 무정차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용자는 무정차 원인(중복선택)과 관련해 △차내 혼잡 20.7% △무리한 배차계획 20.6% 등을 가장 많이 답했다.

반면 버스기사는 △이용자의 탑승 의사 판단의 어려움 65.7% △무리한 승하차 요구 36.4%라고 답변했다. 특히 탑승 의사 판단의 어려움의 이유로는 △승객의 핸드폰 사용 34.8% △정류소 내 불법 주정차 29.0% 등을 꼽았다. 무리한 승하차 요구의 이유로는 △하차벨 없이 하차 요구 33.7% △차를 따라오며 정차 요구 25.4% 등이 있다.

이처럼 이용자와 버스기사 간 시각차로 인해 무정차 문제가 불거지는 것으로 확인된 가운데 지난해 경기도 시내버스 미원 2만931건 중 40.4%가 무정차에 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연구원은 올해 3월부터 시행된 ‘승차벨 서비스’가 문제해결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승차벨 서비스란 버스 이용자가 경기버스앱을 통해 승차벨을 누르면 버스기사 운전석에 설치돼 있는 단말기에 승차벨이 울려 승객 대기 사실을 안내하는 시스템이다.

또 연구원은 정류소 및 주변시설 정비사업을 추진할 때 관대 버스업체나 버스기사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기연구원 김점산 선임연구위원은 “버스 이용문화 개선사업은 소통이 중심이 돼야 한다”며 “이용자는 손짓으로 탑승 여부를 표현하고 버스기사는 만차, 고장 등 차량 상황을 전면가변형 정보표시장치를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류소 구역을 늘려 불법주차를 단속하고 지침을 수립해 무정차 민원 처리 및 행정처분에 관한 기준을 명확하게 세워야 한다”며 “이용자에게 투명하게 행정절차를 공개하고 버스기사와 함께 방어권과 불가항력적 상황에 대한 면책권을 제공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