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제공=고팍스]
[이미지 제공=고팍스]

【투데이신문 변동휘 기자】 글로벌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국내 시장 상륙이 임박한 것으로 관측된다. 디지털자산 거래소협의체(DAXA, 이하 닥사)의 일원인 고팍스 인수설이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관련업계의 시선은 투자 규모와 이후 영향 등에 맞춰지고 있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고팍스는 지난해 FTX 파산으로 인한 재정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해외 자본 유치를 추진 중이다. 지난해 11월 글로벌 최대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과 유동성 공급을 포함한 협력을 목표로 투자의향서를 체결했다고 밝힌 것. 

이후 업데이트 공지에서 고팍스 측은 “비밀유지 조항으로 인해 계약 완료 전까지 공개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관련업계에서는 ‘글로벌 최대’라는 언급과 해외 코인 관련 매체들의 보도 등을 근거로 해당 기업의 정체를 바이낸스로 보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보도 등을 종합하면, 당초 약 500억~600억원 규모의 지분투자가 유력하게 거론됐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창업자인 이준행 대표가 보유한 스트리미(고팍스 운영사) 지분 41.2%를 매입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인수설’까지 제기되고 있다. 때문에 이번 투자 규모도 주요 관건이 될 것이라 전망된다. 

유동성 공급이 필요한 고팍스와 국내 시장 진출을 원하는 바이낸스의 이해관계가 맞물린다는 점도 이 같은 추측에 힘을 싣는 대목이다. 당초 바이낸스는 2019년 국내 지사를 설립해 운영했지만, 규제 문제로 국내 시장에서 철수한 바 있다. 이번 인수가 현실화되면, 실명계좌를 획득한 거래소를 품는 형태로 국내에 우회 진출하게 되는 셈이다.

실제로 바이낸스는 규제가 심한 국가에는 직접 진출 대신 현지 업체 인수를 택했다. 카카오픽코마로부터 일본 사쿠라 익스체인지 비트코인(SEBC) 지분 100%를 인수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SEBC는 도쿄 소재 가상자산 수탁사업자로, 일본 금융청으로부터 가상자산 거래소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이미 협상 자체는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31일 공지에서는 실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고 협의는 대부분 이뤄졌으나, 해외투자자 참여에 따른 절차상 점검과 일부 소액주주들과의 협의 등 통제 외 사안으로 인해 늦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협의에는 고파이 금액 전체 상환 물량이 포함돼 있다는 점도 명확하게 했다. 

바이낸스 자오 창 펑 CEO [사진 제공=뉴시스]
바이낸스 자오 창 펑 CEO [사진 제공=뉴시스]

인수설과 관련해 업계에서는 국내법상 규제가 향후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바이낸스가 고팍스의 지분을 대량 확보해 경영에 관여할 경우, FIU(금융정보분석원)의 변경신고 수리를 거쳐야 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현행 특금법상 사업자 주주 변동은 변경신고 대상이 아니지만, 사업자 명칭이나 대표자 및 임원, 사업추진계획 및 업무방법 등의 변동사항은 신고 대상이기 때문이다. 

양사 간 시너지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고팍스의 거래량 활성화를 위해 바이낸스와의 오더북(거래장부) 공유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특금법 감독규정 상 국내 또는 해외에서 인허가를 받은 가상자산사업자이며, 상호간 고객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가능하다. 때문에 바이낸스와의 오더북 공유는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풀이되며, 이외에도 특금법 우회에 따른 추가 규제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인수 이후 바이낸스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다양하지만, 고팍스의 경영에 관여할 가능성은 다소 낮다는 것이 관련업계 전문가의 분석이다.

블록체인 액셀러레이터인 디스프레드 예준녕 공동대표는 "바이낸스 입장에서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도록 고팍스를 그대로 둘 수도 있으며, 제한적인 경영 참여나 오더북 공유와 같은 강수까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많은데, 만약 오더북 공유가 현실화된다면 고팍스에는 큰 호재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거래소의 상장 요건이 까다로워 바이낸스 상장 이후 국내 거래소에도 상장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인수 이후 바이낸스에서 자사 상장 종목들을 고팍스로 상장시키는 등 상호 연동성을 강화해 고팍스의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그는 “국내 거래소들과의 직접 경쟁이 불가피해지는 데다 특금법 등 관련 규제에 저촉될 우려도 있는 만큼, 인수 초기에는 고팍스의 독자적인 경영권을 인정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바이낸스의 고팍스 경영 관여 가능성을 낮게 봤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