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취재] ‘죽음의 공장, 영풍석포제련소 문닫아라’ 장례캠페인 기자회견

지난해 12월 가스 유출 이후 불과 3개월만
“노동자 죽음 이어지는 제련소 장례지낸다”
봉화군 주민대표, 상수원·산림 파괴 증언도
“수도권 한강 상류였어도 지금껏 방치했겠나”

12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영풍석포제련소에서 사망한 노동자들에 대한 추모와 함께 제련소 폐쇄를 촉구하는 장례캠페인이 펼쳐지고 있다. 이들이 지고 있는 상여에는 지난 2017년부터 사망한 노동자들의 사고 경위가 적혀 있다. ⓒ투데이신문
12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영풍석포제련소에서 사망한 노동자들에 대한 추모와 함께 제련소 폐쇄를 촉구하는 장례캠페인이 펼쳐지고 있다. 이들이 지고 있는 상여에는 지난 2017년부터 사망한 노동자들의 사고 경위가 적혀 있다.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정인지 기자】 경북 봉화군 영풍석포제련소에서 노동자 사망이 반복되고 있는 가운데 제련소 폐쇄를 요구하는 이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등 단체는 12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자 죽음이 이어지는 영풍석포제련소를 장례 지낸다”고 규탄했다.

해당 기자회견은 환경운동연합을 비롯한 서울·안동·대구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피해 공동대책위원회, 낙동강네트워크가 공동 주최했다.

앞서 영풍석포제련소는 지난해 12월 맹독성 가스 유출로 4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데 이어 지난 8일 냉각탑 이물질 제거 작업을 하던 52세 근로자가 낙하물에 부딪혀 사망하는 사고가 이어졌다.

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대표 ⓒ투데이신문
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대표 ⓒ투데이신문

우선 안동환경운동연합 김수동 대표가 노동자 사망경위 브리핑에 나섰다. 김 대표는 “지난해 12월 사망사고 발생 이후 불과 3개월만에 또 사망자가 발생했다”면서 “이는 노동자 사망사고가 기록되기 시작한 지난 1997년 이후 영풍석포제련소에서만 14번째 죽음”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3개월 전 사고로 공장장이 입건된 이후 사고처리도 제대로 안되고 있는 시점이었다”면서 “영풍석포제련소는 노동자들이 끊임없이 죽어나가는 죽임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사고 발생 이후 고용노동부가 해당 업체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를 조사하고 있는 가운데 김 대표는 “정부는 영풍석포제련소의 서류 상 대표만을 처벌 대상으로 고려하겠지만 해당 제련소의 실질 사주는 따로 있다는 점을 간과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영풍석포제련소 사망사고 일지 [자료제공=안동환경운동연합]

제련소가 뿜어내는 공해물질로 인해 인근의 상수원과 산림이 파괴되고 있다는 내용도 함께 다뤄졌다.

이날 영풍제련소 봉화군 대책위원회 신기선 회장은 “영풍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에 있어 1300만 영남인들의 식수원인데, 공해물질로 오염돼 건강과 생명을 위협받고 있다”며 “제련소 아래쪽으로 흐르는 낙동강 상류와 아래쪽에 위치한 안동댐은 아연과 카드뮴으로 온통 오염된 상태”라고 증언했다.

신 회장은 “낙동강 생태계를 파괴하고 영남권의 식수원을 오염시키는 석포제련소에 대한 본격적인 폐쇄 및 이전 논의가 절실하다”고 촉구했다.

단체는 “영풍석포제련소가 얼마나 위험한 공장인지는 현장에 와보면 누구나 알 수 있다”며 “제련소가 뿜어내는 아황산가스가 얼마나 지독하면, 공장을 둘러싼 산의 금강소나무 군락지가 괴멸하겠냐”고 호소했다.

수생태계 또한 문제로 지적됐다. 이들은 “제련소 상류에 바글바글한 다슬기나 이 정도 계곡에서 발견되기 마련인 하루살이류나 날도래류 등 저서생물도 제련소를 지나는 순간 완전히 사라진다”며 “환경부는 해당 제련소 허가를 취소하라”고 말했다.

끝으로 단체는 “만일 수도권 한강 상류에 해당 제련소가 위치했다면 상수원 오염과 산림 파괴를 지금껏 방치했겠나”면서 “금수광산 도륙내고 사람까지 죽음으로 내모는 영풍석포제련소 즉시 문 닫으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