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되면 대한민국 승리”...호남 민심에 호소
“과일·축산물가 너무 높아...책임감 갖고 있어”
“농축산물 긴급가격안정자금 1500억원 투입”
김예지 등 비례 현역 8명 제명...‘의원 꿔주기’

15일 오후 광주시 남구 광주실감콘텐츠큐브에서 입주업체 관계자들과 국민의힘 간에 열린 간담회 장면 [사진제공=뉴시스]
15일 오후 광주시 남구 광주실감콘텐츠큐브에서 입주업체 관계자들과 국민의힘 간에 열린 간담회 장면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총선 정국이 본격화한 가운데,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15일 전남 순천을 찾아 ‘농축산물 긴급가격안정자금 1500억원을 즉각 투입하겠다’며 호남 민심잡기에 돌입했다.

한 위원장은 이날 순천시 아랫장번영회에서 시민 간담회를 열고 “저희는 호남에서 이번에 16년 만에 전석 후보를 냈다”며 “성심성의껏 노력할 자세를 보여드리기 위해 온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최근 순천시장도 마찬가지겠지만 물가가 너무 높고 과일이나 축산물 물가가 너무 높지 않냐”며 “그 부분을 정부여당이 어떻게든 해소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농축산물 긴급가격안정자금 추가 투입에 대해 “납품단가의 지원 대상을 현행 감귤, 사과 등 13개 품목을 배와 포도 등 21개로 확대하고 지원 단가도 최대 키로당 4000원까지 인상하기로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비자가 대형마트 등 전국 1만 6000개 유통업체에서 구입할 때 1만원, 2만원 할인받을 수 있는 농산물 할인 예산이 있는데 이를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호남에서 정말 당선되고 싶다. 저희가 만약 호남에서 당선된다면 단순하게 국민의힘의 힘이라기보다 대한민국 전체의 승리라고 볼 수 있다”며 “호남을 자주 찾고 원하시는 것, 저희에게 부족한 게 있으면 성심성의껏 반영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전 전남 순천시 웃장을 방문해 김형석(순천·광양·곡성·구례갑) 후보와 시민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전 전남 순천시 웃장을 방문해 김형석(순천·광양·곡성·구례갑) 후보와 시민들에게 인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위성정당 ‘의원 꿔주기’ 비판 ↑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비례대표용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로 옮겨갈 김예지, 이종성, 정경희, 지성호 등 현 비례대표 의원 8명의 출당 안건도 의결했다.

당은 이날 오전 화상 의원총회를 개최해 21대 국회 비례대표 당선자 네 명의 의원을 비롯해 회기 중 비례직을 승계한 김근태·김은희·노용호·우신구 의원 등 모두 8명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제명의 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앞서 당 윤리위원회도 지난 13일 전체회의를 열고 해당 안건을 의결했다. 전주혜 윤리위원회 부위원장은 이들의 제명 사유에 대해 “법률적 검토를 했는데 국민의미래로 몇 분의 의원들이 활동하셔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김예지·이종성·정경희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지역구 공천을 신청하지 않았다. 김근태·김은희·우신구 의원의 경우 전직 의원 사퇴 등으로 비례대표 의원직을 승계받고 국회에 늦게 입성했다. 이들 모두 제명 절차를 통해 국민의미래로 당적을 옮기게 됐다.

현역 비례대표 의원이 의원직을 유지한 채 당적을 옮기기 위해서는 기존 당에서 제명돼야 한다. 국민의힘은 이런 형식을 통해 국민의미래가 투표용지의 ‘기호 4번’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민주당 역시 비례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 소속 의원들을 넘겨주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원내 1, 2당인 양당이 각 위성정당에 ‘의원 꿔주기’를 하는 이유는 현역 의석수에 따라 투표용지의 정당 기호 순번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이에 민주당은 국민의미래보다 한 명이라도 더 많은 의원을 파견해 더불어민주연합이 기호 3번을 배정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여야의 이 같은 행태에 비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상대적으로 의석을 확보하기 힘든 소수정당의 원내 진출을 돕는다는 명분으로 도입된 준연동형 비례제 취지가 퇴색됐다는 지적이 지속되기 때문이다.

일부에선 ‘제도의 취지는 사라지고 거대 양당의 기득권만 강화됐다’고 비판한다. 또한 전문성보다 ‘정당 지도부에 충성하는 정파적 인사 등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