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주주 이익 위해 옮기도록 권고...갑작스런 변경 혼선 피하기 위해 지난해 유지

[사진출처=뉴시스]
[사진출처=뉴시스]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삼성생명과 삼성전자 등의 배당기준일 이슈가 블록딜과 맞물리면서 관심을 모은다. 이번 블록딜 외에도 향후 오너 일가의 지분 매각 가능성 등도 함께 살필 필요를 거론하는 시각도 있다. 다만 앞으로는 이런 특정인에게 유리하게 배당 관련 일정을 택한 것 아니냐는 ‘구설수’ 발생 가능성 자체가 작은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이들 회사는 지난해 배당기준일을 연말로 유지했다. 이를 두고 리움 홍라희 전 관장, 호텔신라 이부진 사장, 삼성복지재단 이서현 이사장 등 오너 일가를 위한 유리한 배당 효과라는 풀이가 나오고 있다. 이들은 상속세를 내기 위한 재원 마련 차원에서 지분 매각과 블록딜에 나섰다.

다만,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이 금융당국의 권고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배당기준일을 바꾸지 않으면서 삼성 오너일가 세 모녀는 블록딜 상황 속에서도 배당을 누리게 됐다. 

이들은 삼성생명, 삼성물산, 삼성SDS 등의 일부 지분을 블록딜했다.

그런데 배당기준일을 연말로 그대로 두면, 이들의 주식 처분은 주주명부가 결정되는 이후 행위가 된다.삼성생명의 올해 예상 배당수익률 컨센서스가 5.7%가량임을 감안하면 상당한 금액이 달린 문제라는 평가가 불가피하다. 

여기에는 금융 당국의 권고와 이를 고객 혼선 이유로 넘긴 삼성 측 태도 문제가 맞물려 있다. 

통상 상장사들은 결산 배당기준일을 연말로 설정하고 이듬해 배당금을 정했다. 당국은 주주들이 배당금이 얼마나 될지 모르는 상태에서 연말까지 주식을 보유해야 하는 건 문제라고 보고, 배당기준일을 배당금 확정 이후로 미루라는 권고를 한 바 있다. 상당수 회사가 이에 따랐지만 삼성생명, 삼성전자, 삼성물산 역시 배당기준일을 연말로 유지했다. 특히 보험권에서는 삼성생명의 행보가 대단히 튀는 일이다. 

아울러 삼성생명은 배당기준일 관련 정관도 이미 개정했고 업계 1위로서 금융당국의 권고에 호의적인 파트너십을 보일 것이라는 해석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이런 예상이 빗나갔던 것. 

한편 배당기준일 시점 이슈를 블록딜 문제와 연관지어 해석하는 언론의 시각에 까마귀 날자 배떨어진 것이라는 이견을 가진 이들도 적지 않다. 삼성생명 측도 배당기준일 유지와 블록딜은 무관하다는 답변을 언론에 내놓고 있다. 삼성생명 측은 “배당기준일을 예년처럼 유지한 건 주주들의 혼선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한편, 향후 투자자들의 배당주 투자 시기도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BNK투자증권은 김인 연구원은 “신년부터 배당주 투자 시기도 10∼12월에서 2∼4월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생명 관계자는 작년 배당기준일은 연말로 유지하기로 했지만, 금년 계획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삼성 오너 일가가 주식을 더 팔아야 할지를 고려해 보면 삼성이 배당에 민감하게 정책 판단을 할지 추정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다만, 근래 지분 매각 블록딜로 상당한 재원이 조달됐다는 분석이 유력하다. 고 이건희 회장의 별세로 삼성 일가에 부과된 상속세는 12조원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다. 다만, 오너 일가는 상속세를 분할 납부 중이다. 

홍 전 관장이나 이 사장, 이 이사장 등이 그렇게 대처해 온 상속세는 약 6조원 수준이며, 근래 블록딜로 2조7000억원선을 조달하면서 이제 상속세 문제는 대부분의 고비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분을 파는 문제가 더 부각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당 관련으로 어떤 시점이 유리하냐의 눈치 게임 필요성도 없어진 셈이다. 이번 배당기준일과 블록딜 일정을 둘러싼 설왕설래는 그야말로 해프닝인데, 그런 해프닝조차 향후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