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GS리테일과 GS홈쇼핑이 온·오프라인 유통시장 결합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합병을 선택했다.
GS리테일과 GS홈쇼핑 양사 이사회는 10일 오전 합병 안건을 출석이사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번 합병은 당국의 기업결합 심사와 내년 5월경 개최될 예정인 양사의 주주총회 등 절차를 거쳐 7월까지 마무리할 계획이다.
합병 후 존속법인은 GS리테일이며 합병비율은 1대 4.22주다. GS홈쇼핑 주식 1주당 GS리테일 신주 4.22주가 배정되는 구조다.
이번 합병이 성사되면 자산 9조원, 연간 취급액 15조원, 하루 거래 600만건에 이르는 초대형 온·오프라인 겸업 단일 유통기업이 탄생한다.
국내 유통업계 자산 규모로 롯데쇼핑(33조원)이, 연간 매출액은 이마트(19조원), 거래액은 네이버쇼핑/쿠팡(20조~17조원) 등이 선두권으로 거론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합병을 두고 아마존의 아마존고, 아마존프레시, 홀푸드 같은 오프라인 점포 확장과 네이버쇼핑과 CJ대한통운, 쿠팡의 협력 등 적극적인 온라인 커머스 시장과 오프라인 결합 움직임에 대한 대응으로 보고 있다.
GS 측은 이번 합병을 통해 양사가 가진 구매력(바잉파워)과 판매력(세일즈파워)를 극대화는 한편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업 성장의 돌파구를 모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객 확보와 상품 다양성 확보라는 합병법인의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양사의 멤버십 회원을 기준으로 GS리테일은 1400만명, GS홈쇼핑은 1800만명의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 중복 고객을 제외하더라도 약 2600만명으로 고객기반이 확대된다.
합병법인 GS리테일은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하는 온·오프라인 통합 커머스 플랫폼’을 목표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합하고 양사가 지닌 IT인프라와 데이터 역량의 결합을 통한 ‘커머스 테크 리더’를 실현해 물류 인프라와 배송 노하우의 결합으로 종합 풀필먼트 사업으로 진화시킨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통합 전략으로 2020년 기준 연간 취급액 예상치인 15조원에서 연 평균 10% 이상 성장해 오는 2025년까지 취급액 25조원을 달성하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채널 통합에 집중해 현재 2조8000억원 규모인 모바일 커머스 채널의 취급액을 7조원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GS리테일 허연수 부회장은 “두 회사는 밸류 넘버원이라는 GS의 가치를 공유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유통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왔다”며 “어느 때 보다 경영환경이 불확실하고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시기, 두 회사의 사업역량을 한데 모아 더 큰 고객 가치를 만드는 일에 함께 매진하자”고 밝혔다.
GS홈쇼핑 김호성 사장은 “GS홈쇼핑은 창립 이후 25년간 TV홈쇼핑 시장의 개척, 멀티미디어 쇼핑 대중화, 모바일 커머스로의 전환, 디지털 역량 강화 등 변신을 거듭해 왔다”며 “변화를 받아들이고 혁신을 지속하는 GS홈쇼핑 임직원의 DNA가 더 큰 터전 위에서 크게 뻗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GS리테일, 하림과 손잡고 ‘미리 복날’ 행사로 계육 농가돕기 나서
- GS리테일, 귀국한 중국 우한 교민에 1억원 상당 구호물품 긴급 지원
- GS리테일, 변종편의점 공세에 펭수홍보 저격까지…CU와 번번이 마찰
- 전문의약플랫폼 넘보는 GS리테일 ‘GS25’ 둘러싼 불편한 시선
- GS리테일, 한국기업 맞나…콘돔부터 우유까지 日 전범기업 제품판매 물의
- [부고] 허연수(GS리테일 대표)씨 모친상
- GS리테일, 판매장려금 증여 거부한 서울우유에 ‘제품 코드 삭제’ 응징 논란
- GS리테일, ‘드림밀크’ 또 다시 판매중단… “맛 리뉴얼 차원”
- GS홈쇼핑, 생방송 송출된 ‘김새롬 실언’ 사과…“프로그램 잠정 중단”
- 쿠팡 뉴욕증시 상장에 들썩이는 이커머스 시장, 어떻게 재편되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