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홀로 거주하는 1인 가구 10명 가운데 4명은 월세로 사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기 집을 가지고 있는 가구는 3명을 제외한 나머지는 대부분 전세 계약을 맺었다.

지난 24일 통계청은 위와 같은 내용이 담긴 '2020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가구·주택 특성 항목'을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5년마다 진행되며 지난해 11월1일을 기준으로 전국 20% 표본 가구의 응답을 집계한 결과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664만3000가구로 전체 가구(2092만7000가구)의 31.7%를 차지했다. 2015년에 비해 143만2000가구(27.5%) 늘었고 비중도 4.4%p 상승했다.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전·월세에 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월세에 사는 가구는 273만5000가구로 5년 전보다 53만9000가구(9.6%) 증가했다. 자가와 전세는 각각 50만5000가구(10.5%), 32만8000가구(9.8%) 증가한 227만9000가구, 115만9000가구다.

비중으로 따지면 월세(41.2%), 자가(34.3%), 전세(17.5%), 무상(5.9%), 사글세(1.2%) 순으로 컸다.

1인 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이 291만9000가구(43.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아파트(212만6000가구·32.0%), 오피스텔·고시원 등 주택 이외 거처(72만1000가구·10.8%) 순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체 가구에 비해 1인 가구는 단독주택과 주택 이외 거처 거주 비율이 높고 아파트 거주 비율은 낮았다"고 설명했다.

1인 가구가 사용하는 방 수는 4개 이상이 227만8000가구(34.3%)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3개(204만2000가구·30.7%), 2개(122만9000가구·18.5%), 1개(109만5000가구·16.5%) 순이다.

2015년에 비해 사용 방 수가 1개인 1인 가구의 비중이 10.7%p 줄어든 점이 눈에 띈다. 반대로 2개와 3개의 비중은 각각 2.6%p, 4.9%p, 증가했다.

또한 29세 이하 1인 가구는 사용 방 수가 1~2개인 경우가 60% 이상이었고, 70세 이상에서는 3~4개 이상의 방을 가진 경우가 80% 이상을 차지했다.

정남수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주거의 질을 높이기 위한 요구가 커지면서 부엌과 방이 문으로 구분되는 1.5실이 늘었고, 이는 조사할 때 방 2개로 잡힌다"며 "이 영향으로 방 1개짜리 집은 줄어들고 2개짜리 집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