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센서‧카메라‧5G 등 시장 진출 기회 확대 ‘전망’
【투데이신문 박고은 기자】 2030년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신에너지차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우리 기업의 위기와 기회요인을 제시했다.
KOTRA는 14일 이같은 내용의 ‘중국 新에너지차 시장 발전 동향 및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
신에너지차는 순수전기차(BEV)와 하이브리드차(HEV),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수소연료전지차(FCEV) 등을 말한다.
중국의 신에너지차 연간 판매량은 지난해 11월 기준 3000만대를 돌파했다. 전체 승용차 판매량 내 13.9%에 달하는 비중이다.
이 추세대로라면 중국 정부가 2025년까지 설정한 신에너지차 판매량 목표(전체 자동차 판매량 중 20%)를 1~2년 앞당겨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신에너지차 시장은 기존 완성차기업, 외국기업, 신흥 브랜드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 속에서 세계 최대 규모 배터리기업과 전기차 충전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중국은 전기차 충전소를 238만5000대를 갖춰 세계 최대 규모의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전기 배터리 교체소도 1192개 보유하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도 2023년부터는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지급 대신 충전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는 방향으로 선회할 계획이다. 또한,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계획(2021~2035)’을 통해 2035년 신차판매량 중 순수전기차 판매목표를 50%로 제시하고, 2035년 이후 순수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를 허용하지 않을 것을 예고했다.
이처럼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배터리와 모터의 주원료인 망간, 흑연, 네오디뮴 등 원자재 수급 부족과 가격 급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해당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에게는 원자재 공급망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코트라는 “망간, 흑연 등 신에너지차 생산 관련 핵심 부품(배터리, 모터) 원자재 가격 급등 및 수급 불안정 현상으로 해당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높고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우리 기업은 원자재 공급망 위기에 대비해 수급 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하고, 선구매를 통해 재고를 확보하는 등 전면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신에너지차가 점차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로 모든 기능이 통제되는 차량)로 발전함에 따라 차량용 센서와 카메라, 5G 네트워크, 클라우드컴퓨팅 등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가 있는 우리 기업들의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우리동네 정치인] , [위기의 공공기관], [기업 생존전략 ESG 경영]
좌우명: 忍耐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