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로 뒤덮인 낙동강의 모습. [사진제공=환경운동연합]
녹조로 뒤덮인 낙동강의 모습. [사진제공=환경운동연합]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낙동강 수계에서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뇌 질환을 일으키는 신경독소인 BAMM(베타 메틸아미노 알라닌)가 첫 검출됐다.

환경운동연합(이하 환경연합)은 지난 25일 ‘낙동강 국민 체감 녹조 조사단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앞서 환경연합은 지난 4일부터 사흘간 부산 낙동강 하굿둑에서 경북 영주댐까지인 낙동강 전 구간에서 녹조 현황 조사를 진행했다. 이후 낙동강 본류 23개, 경남 양산지역의 논 7개, 다대포 해수욕장 1개에서 채취한 샘플을 부경대 이승준 교수팀에 의뢰한 뒤, 효소면역측정법으로 분석을 요청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환경운동연합과 낙동강네트워크, 대한하천학회,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 등은 “조사결과, 4대강 사업으로 인한 환경재난이 사회재난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꼬집었다. 

환경연합에 따르면 강 본류, 농산물, 수돗물에서 발암물질이자 생식 독성을 지닌 남세균(Cyanobacteria) 독소가 검출된 것에 이어 다대포 해수욕장에서 BMAA가 검출됐다.  BMAA는 알츠하이머 치매 등 뇌 질환을 유발하는 녹조 독소로, 이번 검출이 국내 첫 사례다.

다대포 해수욕장에서는 BMAA이 1.116ug/L가 검출됐다. 발암물질과 간독성, 생식 독성을 가진 마이크로시스틴은 10.06ug/L가 나왔다. 이는 미국 연방 환경보호청(USEPA)가 허용하는 물놀이 기준(8 ug/L) 초과한 수치다.

낙동강 수상레저 시설인 레포츠 벨리에서도 각각 1L 당 5079ug, 388ug의 마이크로시스틴이 발견됐다. 해당 수치는 USEPA가 허용하는 기준치(8 ug/L)의 각각 634.9배, 48.5배에 달한다. 

이에 대해 환경연합은 “이번 BMAA 검출은 녹조 독소에 따른 피해가 강뿐만 아니라 바다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며 “이처럼 해수욕장에서까지 녹조 독소가 검출되고 있지만, 정부 대책은 걸음마 단계일 뿐 국민건강과 안전에 대한 가시적인 정책 변화가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농업용수 안전성에 관한 우려도 제기됐다. 낙동강 물을 끌어다 농업용으로 활용하는 경남 양산지역 논에서는 마이크로시스틴 5079ug/L이 검출됐으며, 영주댐 선착장에서는 아나톡신 3.945ug/L가 발견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국회의원은 “현재 윤석열 정부는 4대강 재자연화 정책을 폐기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정부는 녹조 오염 관리체계를 개선하는 한편 4대강 자연성 회복을 위한 정책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