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학교폭력예방연구소 정재준 소장/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br>
▲ 한국학교폭력예방연구소 정재준 소장/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겸임교수

세월은 우리와 어울려 아픔을 치유하라한다. 과거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사의 심각한 폭력에도 사회는 조용히 신음했지만 작금은 악성 민원에 시달린 교사의 극단적 선택에 온 사회가 전전긍긍이다. 학교폭력을 다룬 드라마 <더 글로리>가 온 국민의 입에 회자되는 인기를 얻었고, 올해의 이효석 문학상으로 학교폭력을 다룬 ‘애도의 방식’이 대상을 수상했다. 변호사들은 ‘학교폭력’ 전문가라며 거리에서, 인터넷에서 학폭 사건을 끌어오기 위해 안간힘이다. 여야는 유별나게 여론 눈치를 보며 교권 회복 4대 법안 교육위원회 소위를 통과시켰고, 교육부는 교권 회복의 주체자가 될 것이라며 하루가 멀게 포럼 결과물을 언론에 노출시킨다. 이는 ‘학교폭력’과 ‘교권추락’의 해결책을 법률 개정과 시스템의 개선으로 치유하고자 하는 노력이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사회가 곪아 터진 병폐를 마주했던 대응 방법이기도 하다.

학교폭력의 원인은 저출산으로 인한 1인 자녀가 왕자와 공주로 성장하면서 핵가족과 맞벌이 부부라는 훈육 결손가정에서 쉽게 나타난다. 여기에 각종 제도와 법률은 조그만 학교폭력이라도 신고하고 고소하고 가해학생을 어떻게든 조치하라고 자세히 안내한다. 자칫 암수범죄(暗數犯罪) 마냥 다뤘던 학교폭력은 알을 깨며 세상에 나왔고 드라마와 소설, 언론은 이를 각색하고 부각한다. 교권추락의 원인은 아마도 체벌금지, 조례를 통한 학생인권의 강조, 교사의 생활지도권을 압도하는 관련 아동복지법의 존재일 것이다. 여기에 교육의 전문화와 분업화는 교사들에 대한 의존을 약화시켰다. 교사들보다 더 잘 가르치는 족집게 강사들이 인터넷을 타고 들어와 학생들 책상에 안착했다. 입시정보는 더 이상 고학년 담임 선생님의 전유물이 아니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높은 교육열과 소득 수준을 가지고 있기에 차(車)·포(砲) 뗀 교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자칫 교사를 ‘교육 소비자’ 수준으로 간주할지도 모른다. 이 간극을 교묘히 비집고 들어와 자기 자식 챙기기에 열성인 악성 학부모들은 타깃 교사에게 끊임없는 민원을 제기하며 죽음으로 몰아간다. 사람을 상대하는 직업은 참으로 어렵다. 민원부서 공무원들이 그랬고 콜센터 직원이나 텔레마케터가 그랬다. 권위가 떨어진 교사도 이제 이 반열에 들어왔다.

우리 교육의 목표가 전인교육이 아닌 실력양성인 이상 우열 경쟁, 갑을 경쟁, 빈부 경쟁은 곳곳에서 낙오자들을 사회 밖으로 내몰 것이다. 우리는 언제까지 우승열패와 적자생존의 야만적 사회에서 살아야만 하는가? 교사의 죽음을 막고자 호들갑을 떨고 법률 개정안을 내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누구도 그 근본 원인을 진단하고 사회 전체 시스템의 방향타를 옳게 설정하는 지도자가 나타나지 않아 아쉽다.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핵심 증거인 반도체는 지난 40년간 동일 사이즈에 용량을 50만배 늘리는 세밀함의 혁신을 이뤘다. 그러나 그동안 사람들의 언어는 50배는 더 거칠어졌다. 똑똑하고 수재들만 들어간다는 교대에 입학해 교사 임용 시험을 통과하고 석·박사가 수두룩한 교사들이 그 거친 입에 목숨을 저버리니 말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