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종로3가에서 열린 중대재해 근절 대책과 최저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는 ‘전국노동자대회’ ⓒ뉴시스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이달 초 개최한 전국노동자대회에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논란인 가운데, 최근 4차 대유행의 원인으로 민주노총과 참가자들이 오르내리자 민주노총이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민주노총은 22일 ‘7.3 전국노동자대회와 관련한 사악한 의도를 가지고 진행하는 무리하고 무례한 요구를 멈춰라’라는 제목의 논평을 통해 최근 코로나19 확산세와 관련해 자신들을 향한 비난 여론에 대한 심경을 밝혔다.

앞서 민주노총은 지난 3일 종로3가 일대에서 ‘중대재해 근절 대책’ 및 ‘최저임금 인상’ 등을 촉구하는 7.3 대회를 주최했다. 이날 대회는 전국 각지에서 모인 조합원 80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규모로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지난 16일 7.3 대회 참가자 중 첫 확진자가 발생했고, 다음날 2명이 추가로 확인됐다.

이후 방역당국은 참석자 전원에게 코로나19 진단검사 행정명령을 내리는 한편 정확한 감염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역학조사에 착수했다.

이날 오전 10시까지 진행된 7.3 대회 참가자 4172명의 검사결과에 따르면 음성 3781명, 결과 대기 391명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확진자 외에 추가 발생은 없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집회를 통한 감염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최장 잠복기인 2주 안에 증상이 발현했기 때문에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다고 판단했다.

이런 가운데 오는 23일 강원도 원주에서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주최의 결의대회가 예정돼 있고, 오는 30일에도 민주노총 주최 집회가 열릴 거라는 소식이 전해지며 민주노총을 향한 비난은 더욱 커졌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민주노총은 방역당국의 지난 집회 참석자 명단제출 요청에 소극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며 “대규모 집회계획을 철회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민주노총은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질병관리청과 영등포보건소를 통해 알려진 대로 확진 판정을 받은 참가자의 감염경로가 민주노총의 7.3 대회로 특정할 수 없고, 생활 감염의 가능성이 크다는 입장이다.

또 23일 예정된 결의대회는 강원도와 원주시의 방역지침을 근거로 100인 이하 집회로 8곳에 집회신고를 했고 신고지 사이의 거리는 500m이기 때문에 감염병 예방법 위반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더불어 30일 집회는 구체적인 진행계획이 나오지 않았고 집회신고도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참가 인원을 운운하는 등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악의적인 가짜기사가 보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공개한 논평에서 “이미 지난 19일부터 검사결과를 제출하고 질병청과 꾸준히 소통하고 있는데 김부겸 총리가 왜 민주노총이 명단제출에 소극적이라 발언했는지 그 의도를 모르겠다”며 “참가자들은 과도한 행정명령으로 휴가를 쓰고 검진을 받거나 대체인력으로 사비까지 들이며 선제적 검진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청해부대 파병 장병들의 집단감염 등 코로나19 4차 대유행의 결과로 감염자의 숫자가 하루가 다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그 원인과 책임이 어디에 있는지는 명확하다”며 “그럼에도 4차 대유행의 원인이 민주노총과 대회 참가자들에게 있는 것처럼 계속해서 민주노총을 언급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규탄했다.

민주노총은 “공격과 수비를 위한 창과 방패는 오로지 민주노총으로, 이전 시기 민주노총을 공격하는 수구정권과 언론의 행태와 마찬가지다”라며 “7.3 대회와 이번 코로나19 4차 대유행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노총 죽이기에 혈안인 정부와 언론은 이를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