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두 코스닥 상장 기념 사진 [사진제공=한국거래소]
파두 코스닥 상장 기념 사진 [사진제공=한국거래소]

【투데이신문 임혜현 기자】 반도체설계 분야 회사인 파두의 뻥튀기 상장 논란이 연말 증권가에 고민의 화두를 던지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파두는 지난 8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으나, 3분기 어닝쇼크를 기록하며 논란이 촉발됐다. 지난 9일 전년 동기 대비 98%나 줄어든 3분기 매출 실적을 발표하자, 투자자들은 바로 상장 당시 제출된 매출추정치와의 괴리 문제를 짚고 나섰다.  

이는 곧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자료의 신뢰성 문제로 볼 수 있다.

파두는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유니콘(1조원 이상 가치 기업)이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지만, 바꾸어 말하면 역사가 짧은 팹리스 스타트업의 가치를 지나치게 고평가한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다. 즉, 지난 8월 상장 전에 주관 증권사 측이 3분기 상황을 알거나 짐작하고도 높은 가격에 기업공개(IPO)를 강행했다는 ‘도덕적 해이’ 문제가 발생하는 것.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을 상대로 집단 소송을 준비 중인 법무법인 한누리 측은 “올해 2분기 매출이 사실상 제로라는 점을 감추고, 지난 8월 7일 IPO를 강행했다”고 비판했다.

가격 산정시 해당 영역 미국 업체들을 비교 대상으로 했는데 실적과 수주 능력에서 무리 가능성을 어떻게 인지했는가에 따라서 법적 책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무리하게 긍정적 대상을 부각한 셈이라는 지적을 하며, 반대로 상당수 증권가 인사들은 미국 업체와 비교하는 게 타업종을 끌어와 공모가를 산정하는 것보다는 합리적이라는 동정론을 펴는 등 의견이 엇갈린다.

상장 주관사는 공모가가 높을수록 수수료를 많이 받을 수 있어 기업 가치나 실적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의도나 경향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파두의 주관사인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인수수수료는 각각 31억원, 13억원이다. 증권가에서는 불황과 IPO 유치 경쟁 구도로 인해 좀처럼 호재를 내려놓기 어려운 상황이 더 강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IPO를 성사시키고 기왕이면 더 긍정적 딜로 이끌어 성공 보수를 받는 것에 대한 유혹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주식 물량이 다 처리되지 못해도 주관사가 떠안아야 하는 의무인수분 취득금액 부담이 수수료 대비 작다는 점도 녹록하지 않은 증권가 사정에 불씨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다. NH투자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의 의무인수분 취득금액은 각각 7억원, 3억원으로 보수 대비 크게 작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업계에서는 파두 도덕성 논란과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되는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의 4연임 성사 여부를 함께 주목하고 있다.

정 사장은 지난 2021년 2년 임기의 3번째 연임에 성공했다. IPO 명가 NH투자증권 신화를 써온 사령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큰 인물이다. 

우선 정 사장 연임의 최대 걸림돌로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 징계 가능성이 있다.  금융위원회의 징계 여부가 27일쯤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파두 시비가 뒤따르면서 당국 눈치를 더 볼 수밖에 없는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

한국투자증권은 23일자로 김성환 부사장을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 지난 5년간 한국투자증권을 이끈 정일문 사장은 증권 부회장으로 승진해 일단 이 이슈 책임론에서 선수 교체가 이뤄진 셈이라 NH투자증권과는 상황이 다소 달라졌다. 

무엇보다 파두 사태 유탄이 우려되는 이슈로 가장 큰 대목은 기술특례상장 제도 자체의 공정성 논란이다. 이는 투자심리 자체를 꺾는 악재가 될 전망이다.

기술특례상장은 비록 현재는 수익성은 낮지만 높은 기술력과 성장성을 가진 기업들이 상장할 수 있도록 상장 심사 기준을 낮춰주는 것. 2005년 도입돼 매년 꾸준히 기업들이 기술특례를 통해 상장해 왔다.

하지만 파두가 부실 검증 논란을 본격적으로 키웠다는 것.  일단 주관사의 책임 강화를 골자로 하는 기술특례제도 개선 방안을 찾는 안이 등장했지만 상황 전개가 어떻게 될지 집단 소송 진행 과정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17일 기술특례상장 제도 개선방안 시행을 위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개정을 예고했다. 이는 기술특례 상장 유형 체계화·합리화, 기술특례상장 기업에 대한 상장주선인 책임성 강화 등 각종 개선 방안이 골자를 이룬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