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1호선에서 만난 사람들, 세 번째 이야기

신도림역, 핸드폰 충전을 위한 승객들만의 작은 규칙
꼼꼼하고 정확하게, 지하철을 타고 배달되는 택배들
화려한 과거, 정년퇴직 후 부지런히 움직이는 노인들

1호선은 우리나라 첫 번째 개통 열차이며, 2022년 현재, 98개의 역으로 이뤄져 있다. 수도권 대중교통의 중축을 이루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다. 어쩌면 우리나라의 대표 노선이라고 자부할 수 있지만, 언젠가부터 1호선은 미간을 찌푸리는 존재가 됐다.

1호선이 이런 이미지를 갖게 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서울, 경기도, 인천, 충청남도까지 사용하는 노선으로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다양한 사람들이라고 표현이 됐지만, 승객들은 1호선에서 눈에 띄는 사람들을 ‘1호선 빌런’이라고 명명한다. 

<투데이신문>은 1호선에 일어나는 일들의 원인을 찾기 위해 역사로 찾아가 승객들과 이야기를 나눠 봤다. 인터넷에서 떠도는 ‘1호선 빌런’을 만날 수 있다는 기대감과 두려움을 가지고 출발한 여정은 생각보다 금방 본인의 생각을 바꾸어 놓았다. 낯선 사람의 경계로 대화를 시작했지만 자상한 말투로 그들의 일생을 나열해 줬다. 몇 번의 대화로 ‘1호선’을 다른 시선으로 보게 된 것이다. 우리가 오르고 내리며 함께 이동했던 혼란스러운 1호선은 알고보면 누군가의 놀이터였고, 안식처가 되기도 했다.

본보는 1호선에서 만난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의 시선이 조금은 편협하지 않았는지 함께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려 한다.

신도림역 ⓒ투데이신문
신도림역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서정인 기자】 많은 직장인의 환승역으로 손꼽히는 신도림역. 지난해 11월 9일, 분주하게 발걸음을 옮기는 사람들에게 대화를 시도한다는 것은 큰 도전과도 같았다. 그러던 와중 신도림역을 돌아다니며, 역사를 이용하는 시민들끼리 만들어 놓은 작은 규칙을 발견했다.

신도림 역사 안에는 비교적 시민들의 통행이 적은 한적한 거리가 있다. 그 거리에는 시민들이 앉아 쉴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자리 옆에 설치돼 있는 ‘콘센트’이다. 환승하기 전이나 잠시 시간이 남을 때, 가방 안에 있는 충전기를 꺼내 핸드폰을 충전하며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을 꽤 볼 수 있다.

예약제나 순서가 정해져 있는 건 아니지만, 이미 자리를 잡고 충전하고 있는 시민 앞을 서성거리면 “다 충전했어요”라며 자리를 비켜준다. 기자는 환승이 잦은 신도림역에서 오래 대화할 상대가 필요했기에, 콘센트를 꽂을 수 있는 자리 옆에 앉아 대화상대를 기다렸다.

붐비는 신도림 역사 안, 유일하게 한적한 거리 ⓒ투데이신문
붐비는 신도림 역사 안, 유일하게 한적한 거리 ⓒ투데이신문

인기가 많은 자리라 그런지, 쉽게 인터뷰 상대를 만날 수 있었다. 핸드폰을 충전하기 위해 콘센트를 찾아온 한 할아버지와 대화의 물꼬를 트니, 그와 안면이 있는 인물들이 한, 두 명씩 모여들었다.

그렇게 한자리에 모인 이화준, 송철경, 최강순 할아버지(가명/ 이하 이, 송, 최 할아버지)의 직업은 지하철 택배기사다. 대형트럭이나 오토바이가 아닌 지하철에 몸을 싣고 고객들의 택배를 배달한다. 세 명 모두 동일하게 두건씩 배달을 완료했지만, 액수가 중요하다며 누가 더 많이 벌었는지 이 할아버지가 승부수를 띄웠다.

“많이 했어요?”

 “두 마리, 두 마리”

 “나도 두 마리”

“액수가 중요하지. 얼마 벌었어?”

“20만 원”

 “나는 23만 원. 15만 원짜리 하나하고 8만 원짜리 하나 했으니까 23만 원 맞지?”

송, 최 할아버지는 이 할아버지의 자랑이 듣기 싫은지, 원래 막걸리 약속이 잡혀 있었다며 자리를 떠났다.  할아버지는 택배 업체에서 확인 문자를 받아야 퇴근할 수 있다는 자신의 철칙 때문에 가방에서 핸드폰 충전기를 꺼내곤 기자 옆, 빈자리에 앉았다. 이렇게 세 번째 인터뷰가 시작됐다.

그는 월요일에서 토요일까지 6일 동안 지하철 택배 배달을 하고 있다. 서울부터 천안, 가평, 양평까지 지하철이 다니는 길이면 어디든 갈 수 있다. 지하철 택배라는 직종이 생소했던 기자는 호기심이 생겨 이것저것 물어봤다.

“하루에 몇 건 정도 배달하시는 거예요?”

“두 건 정도 많으면 네 건, 그러면 거의 다 끝나. 시간이 애매하거든, 그래도 퇴근하라는 지시가 있어야 할 수 있어. 여기서 기다리는 거지 뭐”

“기사 분들 나이대가 조금 높은 가봐요?”

“오래 사니까 많은 거지! 전철은 또 공짜니까..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있지. 기자님은 젊어?”

“네, 젊은 편이에요(웃음)”

“젊어봤자 얼마나 젊겠어! 나도 젊어!”

호통과 웃음이 오가는 대화에 분위기가 조금 유해지자, 그는 택배 일을 하기 위한 필수품들을 보여주겠다며 시선을 끌었다. 큰가방안에는 작은 수첩과 필기도구가 다였다. 성인 남자 손바닥만 한 스프링 수첩에는 ‘LOVELY DAY'라는 문구가 적혀 있었다. 따뜻한 분홍색 표지에 금색 글씨, 그는 문구점에 가서 가장 맘에 드는 것을 직접 골랐다고 했다. 그런 작고 소중한 노트엔 배달일지가 빼곡히 적혀 있었다.

이 할아버지의 꼼꼼한 배달일지 노트, 표지엔 'LOVELY DAY'가 적혀있다. ⓒ투데이신문
이 할아버지의 꼼꼼한 배달일지 노트, 표지엔 'LOVELY DAY'가 적혀있다. ⓒ투데이신문

 

11월 3일

①신도림역-구리역

②대림역-이수역

③신대방역-동운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④을지로3가역-신정역

하루 택배 경로와 정확한 배달 주소, 선/후불의 가격책정 등 꼼꼼한 그의 성격이 꾹꾹 눌러쓴 글씨에 드러나 있었다. 그는 항공 업계에서 정비사로 근무하고 퇴직했다. 하나의 오점도 허용되지 않는 과거의 이력 때문인지, 배달일지도 아주 정확하고 섬세했다.

그가 퇴직한 후, 지하철 배달 업무를 시작하게 된 계기는 세 가지다. 개인 운동, 급식조리사로 근무하는 아내와 동일 시간대 업무, 사랑하는 쌍둥이 손주에게 용돈을 주기 위해, 열심히 택배를 배달한다. 핸드폰에 저장한 손주 사진을 보여주며 아이들의 자랑을 나열하는 모습은 영락없이 할아버지다.

그렇게 손주 사진을 구경하고 있을 때, 핸드폰엔 오늘 하루 꽉 채운 걸음 수를 확인하라며 알림이 울렸다. 목표걸음은 하루 1만보, 오늘은 1만857보를 걸었다. 이 앱은 걸음 수, 활동 시간, 활동 열량을 계산해주며, 목표치에 가까워지면, 투명한 하트가 알록달록하게 채워진다. 이 할아버지의 일일 활동 하트는 형형색색 채워져 있었다.

이 할아버지의 만보기 앱, 일일 활동이 채워져 있다. ⓒ투데이신문
이 할아버지의 만보기 앱, 일일 활동이 채워져 있다. ⓒ투데이신문

“택배 일하면서 운동도 하는 거지, 일요일은 좀 부족해..쉬는 날도 있어(웃음)”

꽉 채워진 하트들 사이에 비어 있는 일요일 하트들을 발견할 때마다 그는 조금 민망한지 웃음을 짓기도 했다. 하지만 평일에는 평균 13만보 이상을 걷는다며 일흔이 넘는 할아버지의 작은 자랑을 선보였다.

“아직도 얘기 중이야?”

“몰라, 내 얘기가 재밌나 봐”

이 할아버지가 오랜 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 은근히 부러웠는지 간단히 막걸리 한잔 걸치고 오신 송, 최 할아버지는 내 얘기도 들어보라며 자신의 젊은 시절 이야기를 시작했다. 인테리어 업종에 50년 동안 종사하며 국내외 여기저기 출장을 다닌 송 할아버지, 무역업을 하며 중국어가 능수능란한 최 할아버지까지. 지금은 모두 같은 일을 하고 있지만, 개성이 뚜렷한 그들만의 과거가 있었다.

“문자 왔다! 퇴근하래”

한창 이야기를 나누고 있을 때, 대화를 멈추는 핸드폰 알림이 울렸다. 택배업체에서 퇴근 확인 문자가 온 것이다. 그들은 미련 없이 잘 들어가라며 인사를 나누곤, 1호선, 2호선 각자 자신의 안식처로 데려다 줄 지하철을 향해 걸었다. 살짝 당황한 기자는 그들의 이야기를 기사에 담고 싶다며 연락처를 물어봤지만, 그들은 조금 부끄러운지 신분은 밝히지 않고 기사화 하도록 승낙했다.

기사화하는 것은 그들에게 딱히 중요한 일이 아니었다. 기자에게 언제 또 만날 수 있는지 심심할 때, 신도림역에서 만나 수다나 떨자며 기약 없는 약속을 했다.

택배 배달 업무를 마무리하고 퇴근하는 이 할아버지 ⓒ투데이신문
택배 배달 업무를 마무리하고 퇴근하는 이 할아버지 ⓒ투데이신문

항공, 인테리어, 무역 등 전문적인 업종을 잘 마무리하고 새로운 직업을 얻었다. 과거에 종사했던 직업에 비하면 하나의 택배를 운반하는 일이 훨씬 쉽지만, 허투루 하지 않는다. 발신지와 수신지의 주소를 꼼꼼히 작성하고, 배달할 물건이 맞는지 재차 확인한다. 그렇게 그들은 소중한 택배를 들고 지하철에 탔다.

지하철 옆자리에 앉아 있는 어르신이 큰 가방을 메고 조용히 자리에 앉아 오랫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다면, 누군가의 소중한 물건, 필요한 물건을 전하는 길에 동행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직장으로 가는 길, 집으로 돌아가는 길, 약속 장소로 가는 길, 교통수단으로만 이용했던 지하철. 이제는 그 곳이 누군가의 직장이 됐다. 이미 쉴 수 있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무언가 하려는 그들의 하루하루를 응원하고 싶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