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에서 한 고객이 직원으로부터 안내를 받고 있다. ⓒ뉴시스
서울의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에서 한 고객이 직원으로부터 안내를 받고 있다. ⓒ뉴시스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올해 상반기 1~2등급의 고신용자들이 부동산 대출규제를 피해 상호금융에서 신규대출의 절반가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이 상호금융중앙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농협·수협·신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의 올해 상반기 가계대출 신규취급액은 37조7165억으로 파악됐다. 이 중 절반 가까운 규모(46.53%)인 17조5499억원이 신용등급 1~2등급의 우량차주 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보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1~2등급 대출자의 비중은 19.71%(11조2886억원), 2019년에도 21.41%에 불과했지만 2020년엔 26.75%까지 늘어난 뒤 올해 46.53%까지 폭증했다.

금융업계에서는 이처럼 상호금융이 고신용자 대출을 늘리기 시작할 경우 정작 중·저신용자들이나 저소득 대출자들이 대출에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상호금융의 높은 금리로라도 제도권 내에서 대출받을 수 있었던 중·저신용자들이 제도권 바깥으로 밀려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량등급 대출금액이 늘어나는 동안 7등급 이하 대출금액이 신규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18.58% △2019년 16.72% △2020년 13.78%로 감소했으며, 올해 상반기엔 10.51%까지 하락했다.

이밖에 상호금융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비율도 다른 업권에 비해 150%로 높아서 대출규제 사각지대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DSR 규제 150%는 개별 대출자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닌 평균 목표치로 특정 차주에게 DSR 200%를, 다른 차주에게는 100%를 적용해 평균 150%만 맞춰도 된다. 이런 식으로 고소득자가 은행에서 받지 못하는 대출 수요를 충당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상호금융의 올 상반기 주택담보대출 신규 취급액은 10조원에 육박했고, 기업 주택담보대출 역시 23조원을 돌파했다. 특히 전체 기업대출 중에는 98%가 부동산 관련 대출이었다.

민형배 의원은 “최우량등급 고객들이 상호금융으로까지 몰려오는 이유가 결국 급등하는 부동산 가격, 또 여기에 투자하려는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약한 비은행권으로 몰려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은행권 대출 규제로 고신용자들이 제2금융권으로 밀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하고 있다”라며 “이렇게 되면 고소득자의 부동산 투기를 막겠다는 대출규제 목표달성이 실패하고 오히려 2금융권을 주로 이용하는 계층이 자금을 조달할 곳이 사라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금융당국은 부동산 투기를 막으면서 서민들의 자금수요는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세심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