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 우리나라 국민 3명 중 1명은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거나 끓여서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27일 수도법 제29조의2(수돗물 먹는 실태조사)에 의거해 올해 처음으로 실시한 ‘2021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전국 161개 지자체의 7만2460개 가구주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조사 대상자들은 수돗물 먹는 방식과 수돗물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한 총 38문항에 대해 답(중복 선택 가능)했다.
실태조사 결과, 우리 국민 3명 중 1명(36%)은 물을 마실 때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거나 끓여서’ 먹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차나 커피 등을 마실 때 ‘수돗물을 그대로 마시거나 끓여서’ 마신다고 응답한 비율은 41.6%, 밥이나 음식을 조리할 때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67%로 각각 확인됐다.
반면, 물을 마실 때 ‘수돗물에 정수기를 설치해서’ 마시는 비율은 49.5%로 나타났다. 이어 ‘먹는 샘물(생수)을 구매해서‘ 마시는 비율은 32.9%로 밝혀졌다.
수돗물을 마시고 있는 응답자 대상 먹는 수돗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만족’ 69.5%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라고 답한 사람은 27.3%로 확인됐다.
수돗물 만족도 향상을 위해 추후 강화돼야 할 제도와 정책으로는 ‘노후된 수도관 교체’(27.8%)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 ‘원수(상수원)의 수질관리’(27.3%), ‘정수장 시설의 현대화’(11.8%)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오는 28일 환경부는 이번 조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은 결과보고서를 환경부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수돗물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대응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환경부는 지자체와 함께 1단계 노후 상수관망 정비 사업(관망 112개소, 정수장 34개소)을 차질 없이 추진함과 동시에 추가 사업 발굴 및 추가 지원 방안을 강구할 예정이다.
또한, 오는 2022년까지 161개 전체 지자체에 스마트 관망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수돗물 수질을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 감시 및 사고 시 이물질 자동배출 등 스마트한 수돗물을 관리체계를 갖출 전망이다.
환경부 김동구 물통합정책관은 “올해 처음 실시한 수돗물 먹는 실태 조사에 응답한 국민께 감사드린다”며 “국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의견을 토대로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주요기획: [여기, 사람 삽니다], [H세대], [당신은 알지 못하는 삶]
좌우명: 사람 살리는 글을 쓰겠습니다. 다른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