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우익의 상징, 총격으로 사망하다
아베 시즌2 기시다 정부, 앞으로의 외교는

복잡한 자민당 상황, 전망도 불투명
어설픈 관계개선은 역풍 맞을 수도

&nbsp;지난 8일 유세 중 총에 맞아 사망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사진제공=뉴시스]<br>
 지난 8일 유세 중 총에 맞아 사망한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한정욱 기자】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지난 8일 유세 도중 사망하면서 과연 한일관계는 앞으로 어떤 식으로 전개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베 전 총리의 집권은 한일관계를 악화일로로 가게 했기 때문이다.

아베 전 총리가 일본 우익의 상징이었기 때문에 그의 죽음은 일본의 또 다른 변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문제는 기시다 현 총리가 아베 시즌 2라는 점에서 과연 개선의 기미가 있을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기시다의 결단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유세 도중 사망을 하면서 그에 따라 한일관계가 어떤 식으로 바뀌게 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당장 윤석열 대통령은 주한일본대사관에서 아베 전 총리에 대한 조문을 하기로 결정하면서 한일관계 개선의 의지를 담았다.

윤 대통령은 대선 기간 동안에도 한일관계 개선의 의지를 보여왔다는 점에서 조문 외교는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아베 전 총리가 총리 시절 일본 수출규제를 단행했고, 이로 인해 문재인 정부와 외교적 마찰을 빚었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 윤 대통령의 조문 외교가 경색된 한일관계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두고 봐야 할 문제이지만 핵심은 ‘기시다 총리’의 결단이다.

당장 한일관계가 아베 전 총리가 사라졌다고 해서 개선될 가능성은 희박하다. 그것은 자민당 내 아베파가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대통령 중심제가 아니라 의원내각제이고, 그동안 자민당이 집권해왔다. 다만 계파별로 그 집권 세력을 달리했다. 일본에서 정권교체란 자민당 내 계파별 수장이 집권을 하는 것을 말할 정도이다.

물론 한때 민주당이 집권한 적이 있었지만 사실상 자민당 일당국가라도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문제는 기시다 총리가 집권하게 된 것은 아베파의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베파는 여전히 자민당 내에서 최대 계파 중 하나이다.

따라서 아베 전 총리가 사망했다고 해서 아베파가 갑자기 영향력을 잃어버리거나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 구심점을 누구를 둘 것인지를 두고 아베파 내분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는 기시다 총리의 정치적 기반을 약화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베 전 총리의 사망은 ‘우익’의 결집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일본 우익의 상징인 아베 전 총리가 사망했다는 것은 일본 우익으로서는 두고 볼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결집을 시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일본 우익이 결집을 시도한다는 것은 ‘혐한’ 정서를 더욱 강하게 띌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가뜩이나 자민당이 개헌 저지선을 무너뜨리고 이제 개헌을 할 수 있게 됐다.

자민당 내부 상황은

일본 우익은 헌법을 개정해서 전쟁 가능한 국가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일본 우익은 혐한을 내세워 전쟁 가능한 국가로 나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한일관계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핵심은 기시다 총리의 결단이다. 그동안 기시다 총리는 아베 전 총리의 정치력에 눌려 살았다. 오죽하면 아베 시즌 2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다.

아베 전 총리가 장기집권을 했기 때문에 관료들 역시 아베 조직과 가까운 사람들이었다. 이런 이유로 8월이나 9월에 단행하는 개각에서 기시다 총리가 어떤 개각을 할 것인지에 따라 한일관계 개선도 좌우된다.

또한 자민당이 전쟁 가능한 국가로 나아갈 개헌 저지선을 확보했지만 문제는 자민당 내부의 계파가 복잡하다는 것이다.

아무리 아베 전 총리의 사망으로 인해 보수 우익의 집결이 발생할 것이라는 예상이 있다고 해도 반대급부로 자민당 내 보수 진보의 집결 가능성도 매우 높다.

즉, 기시다 총리가 어떤 손을 들어줄 것인지 여부와 자민당 내부의 권력투쟁이 어떤 식으로 이뤄질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런 이유로 한일관계를 섣불리 예단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는 것이 외교가의 판단이다. 이에 우리 정부가 당분간 일본 정가의 정세를 관망하면서 어떤 식으로 한일관계를 개선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무조건 ‘한일관계 개선’만 외칠 것이 아니라 관망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민당 내부권력 투쟁이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사태를 관망하면서 보다 장기적인 한일관계 개선에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아베 전 총리의 그림자가 얼마나 걷어질지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다. 워낙 일본 정치계의 거목이었기 때문에 그 그림자가 상당히 늘어졌다는 점에서 그 그림자가 어디까지 뻗쳐 있는지를 제대로 살펴야 한다.

아베 전 총리의 사망을 계기로 한일관계의 변화를 꾀하겠다고 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불러일으켜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어설픈 관계 개선, 역풍만

국내 여론도 살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아베 전 총리의 사망에 대한 여론이 분분하기 때문이다.

아베 전 총리가 그동안 한일관계 악화를 위한 행보를 해왔다는 점에서 일부 사람들은 그의 죽음에 추모를 하지 않는 분위기도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윤석열 정부가 어설프게 한일관계 개선에 접근했다가는 오히려 국내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