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부동산 PF 익스포저 115조5000억원 ‘역대 최대’
나신평 “재무여력 확보 충분치 않으면 신용도 저하 야기”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3일 서울시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3일 서울시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부동산시장 침체와 글로벌 금융 유동성 우려가 심화되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불안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경제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한편, 아직은 민간 자율을 통해 리스크를 관리하려는 기조를 보이고 있다.

27일 금융위원회는 금융감독원 등과 금융시장 현황 점검회의를 열고 최근 금융시장 상황과 금융회사의 유동성·건전성 현황을 점검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와 관련해 일부 사업장 및 업권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으나 과거 위기와 비교하면 미분양이나 연체율이 낮아 아직은 금융시스템 전반의 리스크로 보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민간 자율에 무게를 둔 리스크 관리에 초점을 맞추는 분위기다. 최근 사업성이 우려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민간 자율의 사업 재구조화 노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해관계자와의 소통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대주단 협약도 다음달 중으로 개정해 민간 자율의 권리·이해관계 조정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앞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4일 거시경제·금융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갖고 부동산 PF 등 국내 취약부문의 잠재 리스크가 글로벌 금융불안과 맞물릴 가능성에 대해 예의주시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섣부른 재정·통화정책 기조 전환보다는 대외 거시경제와 금융 여건을 예의주시하며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겠다는 의도이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보험·증권·여신전문금융사·저축은행·상호금융 등 2금융권의 부동산 PF 익스포저(대출·보증 등 위험노출액)는 115조5000억원 규모로 사상 최대에 달하고 있다. 2017년 말 익스포저 수준을 100으로 가정해 지수로 환산한 업권별 익스포저를 산출하면 여신전문금융사는 432.6에 이르러 4.33배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험사는 204.8, 증권사는 167로 나타났다.

부동산 PF 연체율 상승도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증권사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3.7%에서 지난해 9월말 8.2%까지 상승했다. 동기간 여신전문금융사는 0.5%에서 1.1%로, 저축은행은 1.2%에서 2.4%로, 보험사는 0.1%에서 0.4%로 연체율이 올랐다.

나이스신용평가(이하 나신평)는 지난 21일 건설회사 부동산 PF 우발채무 리스크 범위 비교분석에서 “분석대상 11개 주요 건설회사의 우발채무 총 규모가 95조원에 달하는 반면 보유 현금 유동은 12조원에 불가하다”라며 “우발채무의 절대적인 규모는 매우 과다한 수준으로 생각된다”고 진단했다. 단, 자체적으로 우발채무 특성을 고려해 위험성이 높다고 선정된 ‘요주의 우발채무’로 국한하면 건설회사의 PF 우발채무 부담은 20조원까지 축소됐다.

회사별로 보면 롯데건설과 태영건설은 위험군 우발채무가 현금유동성을 각각 9500억원, 4200억원 상회해 실질적인 우발채무 부담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계열사 지원, 금융회사들과 투자협약 체결 등을 통해 현금유동성을 확보하고 우발채무 만기연장 조치를 통해 단기적인 유동성 위험은 완화된 상태로 봤다.

나신평 기업평가본부 홍세진 수석연구원은 “현재 상황에서는 건설산업 전체적으로 위험군 우발채무 부담에 대한 대응은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된다”라면서도 “부동산 업황 침체가 장기화 될 경우, 미분양 위험지역 확대 등으로 현재 5조원인 위험군 우발채무 규모가 요주의 우발채무 규모인 20조원까지 증가 추세를 보일 수 있다. 건설회사 총차입금이 17조원에 달하는 점을 고려할 때, 자금조달 상황 악화 시 현금유동성은 빠르게 소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현 상황에서는 현금유동성 및 재무여력 확보 수준이 건설회사 대응력의 핵심 요소로 판단된다. 그 수준이 충분하지 못한 건설사는 업황 침체 장기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을 수 있고 이는 신용도 저하를 야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