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업체, 전년보다 종합 96.4%·전문 22.3% 늘어
종합 2만곳·전문 8만곳 달해…업계 흔들 위기는 아냐
“수익 중심 보수적 경영 필요…SOC 예산 증액도”

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 ⓒ투데이신문
서울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건설업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폐업 및 부도업체 수가 늘어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는 업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한 상황은 아니라는 진단이다. 건설업계 분위기는 경기 변동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는 가운데 SOC(사회간접자본) 예산 증액에 기대를 거는 모습이다.

17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통계를 보면 올해 폐업한 업체 수는 지난달까지 종합건설 218곳, 전문건설 1158곳이며 지난 1월부터 8월까지 건설업 부도업체 수는 9곳(종합 5곳, 전문 4곳)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 폐업한 건설업체 수는 종합건설 96.4%, 전문건설도 22.3% 늘어난 결과다.

건설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국내 주택시장 침체로 건설업 경기가 위축되면서 중견·중소 건설업체들의 자금난이 악화되고 있는 점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특히 수도권이 아닌 지역에 기반을 둔 건설업체들은 미분양 증가 등으로 적잖은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 건설업 규모에 비춰보면 폐업 및 부도업체 수가 업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으로 보인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상 우리나라 전체 건설업체수는 9만9911곳(지난달 기준)으로 10만곳에 육박하고 있다. 이 중 종합건설이 1만9148곳이고 전문건설은 8만763곳다. 지난해 동월 대비 각각 666곳, 2147곳씩 늘어난 수치다.

연도별 부도 건설업체 수를 보면 2019년 48곳(종합 12, 전문 37), 2020년 24곳(종합 4, 전문 20), 2021년 12곳(종합 1, 전문 11)으로 올해만 부도업체 수가 많다고 보기 어렵다. 건설업 경기가 나빠지기는 했으나 업계 전반을 흔들 위기라기보다 자연스러운 경기 변동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해 보이는 이유다.

한 건설정책 전문가는 “우리나라 건설업체 수가 많은 편이다. 건설업이 호경기일 때를 기준으로 시장 규모가 형성돼 있다”라며 “일부 건설업체가 경영상 어려움으로 문을 닫는다고 해서 산업 전반으로 확대해 건설업의 위기라 해석하는 것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업황의 등락에 따라 업체 수에 조금 변화가 있는 정도는 시장경제에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전문가는 “사업이 잘되는 회사도 업황이 좋지 않으면 영향을 받는다. 이 때 필요한 것이 보수적인 경영 방침이다. 수익 중심의 운영을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그는 하반기 전망에 대해서는 “국내 주택 경기는 (입지 등이)좋은 곳은 앞으로도 가격이 버티거나 오를 것이다. 점차 지역별로 양극화가 심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중반부터 몇몇 중대형 건설업체들도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며 신용평가사들이 신용등급 전망을 하향 조정해 우려를 사기도 했다. 그러나 국내 건설시장은 극소수 대형사들이 독과점한 구조가 아니기에 이들의 자금난이 건설업 전반을 뿌리째 흔들 위기로 확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한 건설단체 관계자도 “폐업하는 업체가 많이 나오는데 법인을 등록말소하는 게 아니라 시기가 어려우니 잠깐 건설업 면허를 반납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면허를 반납했어도 6개월 이내에 다시 면허를 받으면 기존 수주실적 등을 다 유지할 수 있기에 폐업이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건설경기가 아주 침체됐다기보다 경제지표들이 좋지 않다보니 건설업도 그 영향을 받는 분위기인 것 같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 관계자는 정부가 SOC 예산을 늘려 민생경기의 어려움에 대비할 필요는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기반시설을 보면 노후화된 시설이 많은 상황이다. SOC 예산을 늘려 보강해야 하는데 제대로 반영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대한건설협회는 지난 5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에 경제위기 극복, 지역균형발전, 국민안전 확보를 위해 내년도 SOC 예산을 31조원 이상 편셩해야 한다고 건의한 바 있다. 건설협회 김상수 회장은 “지방의 생활·경제 여건을 개선하고 기업투자 유인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라며 “SOC 투자 확대를 통한 낙후지역의 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교통편의와 산업활동 여건을 대폭 개선해 국토균형발전을 도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