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법적인 재벌승계 폭로 및 대안 마련’ 토론회 개최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현대중공업이 2017년, 2019년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한 기업분할이 정몽준 회장 총수일가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한편, 향후 정기선 부사장에 대한 경영승계를 위한 것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조, 민주노총 울산본부, 현대중공업지부 등은 전날 오후 울산 동구 퇴직자 지원센터 3층 대강당에서 ‘탈법적인 재벌승계 폭로 및 대안 마련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진행했다.

이날 토론에는 송덕용 회계사와 김유정 변호사 등이 발제를 맡았으며, 울산인권운동연대 박영철 대표, 울산저널 서민태 대표, 현대중공업지부 김형균 정책기획실장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

먼저 송 회계사는 지난 2017년, 2019년 두 차례에 걸친 현대중공업 그룹의 지배구조 변화를 살펴보며 대주주 경영권 강화와 경영권 승계가 당시 기업분할의 목적이었다고 비판했다. 또 이로 인해 분할된 회사의 노동자들이 구조조정 위험에 처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실제 현대중공업그룹은 지난 2017년 4월 현대로보틱스‧현대중공업‧현대건설기계‧현대일렉트릭 등 4개의 회사로 분할됐다. 이 과정에서 현대로보틱스가 현재중공업지주로 전환됐고 최대주주인 아산재단 정몽준 이사장의 현대중공업 지분이 10.15%에서 25.8%로 늘어났다.

송 회계사는 이를 통해 특수관계자를 포함한 총수일가 지분율이 21.4%에서 32.65%로 증가했고, 현대자동차 등 방계회사를 포함할 경우 당시 42%를 넘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결론적으로 현대중공업의 기업분할을 통해 총수일가가 안정정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경영권 승계를 위한 기반작업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2019년 5월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해 단행된 물적분할도 문제로 지적됐다. 당시 현대중공업그룹은 한국조선해양이라는 중간지주사를 만들고 현대중공업을 완전 자회사로 두는 물적분할을 진행는데, 이 역시 대우조선해양을 현대중공업지주가 직접 인수할 경우 규모가 커지면서 경영권 승계에 불리해 질 것을 염두에 뒀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날 토론에 나선 토론자들은 향후 10년 이내에 정 회장이 아들인 현대중공업 정기선 부사장에게 현대중공업지주 주식을 증여하며 경영권 승계에 나설 것으로 내다 봤다. 특히 정 부회장의 지분 증가 과정에 ‘AS 등 간접서비스’ 부분을 사업 영역으로 두고 있는 현대글로벌서비스가 매개 회사가 될 가능성을 점쳤다. 정 부회장은 현재 현대글로벌서비스의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이밖에도 토론자들은 현대중공업의 기업분할을 통해 노동자들의 입지가 더욱 약화되고 있는 상황을 우려했다. 이들은 현대중공업 그룹이 기업분할의 목적으로 제시한 ‘경영효율성’은 분사한 회사의 매각 등 완전 분리, 고용 조정, 임금 조정 등의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김유정 변호사는 “현재 법은 기업의 현재와 미래를 결정하는 분할, 인수, 합병,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 등과 관련해 노동자들과 노동조합의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전혀 보장하지 않고 있다”라며 “그렇다고 총수일가가 기업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편법승계를 위해 이를 이용하는 행태에 대해서도 제대로 규제할 수 있는 방안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울산인권운동연대 박영철 대표는 “총수일가는 이러한 분할 후 주식교환과 주가 변동을 통해 본인의 지분보다 훨씬 더 많은 지분을 확보했다. 결국 분할은 최대주주의 지분확대와 이익 확대로 귀결되고 이를 통해 승계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라며 “법적 강제와 더불어 탈법적인 경영 승계의 감시와 통제 그리고 노동조합의 의사반영을 위한 방안 마련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중공업은 경영효율화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기업분할을 진행했고, 물적분할 역시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통해 현대중공업의 역량과 가치를 올리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또 승계 관련해서는 아직 결정된 것이 아무것도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기업분할은 경영효율화를 추구하고,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증대시켜 시장으로부터 적정한 기업가치를 평가 받음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했던 것”이라며 “물적분할은 중국과 일본이 몸집을 불리고 기업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대우조선해양과의 기업결합을 통해 현대중공업의 역량과 가치를 올리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주총에서도 90%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돼서 적벌한 절차로 진행이 됐다”라며 “승계는 아직 확정 및 결정된 내용이 전혀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