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환 박사<br>-글로벌스마트인공지능연구소 대표<br>-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br>
▲ 이경환 박사
-글로벌스마트인공지능연구소 대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Rogers(1961)는 저서 ‘인격형성’에서 자아 또는 자아개념은 개인이 자신에 대한 지각이나 타인과 관계 또는 사람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지각이며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다음백과(2022)에 의하면 자아 정체성은 자아개념이 보다 발달해 구체적인 의식으로 자신의 독특성을 자각한 상태이다. 자아 정체성은 대인관계, 역할, 목표, 가치와 이념 등에서 자신의 고유성에 대한 자각과 이에 부합하는 자기 통합성과 일관성을 견지해 나가려는 의식, 무의식의 노력이다. 따라서 자아 정체성은 행동의 일관성과 주체성을 유발하며, 비전을 만들어 내고, 공동체구현에 기여하며, 인적역량 형성을 주도하고, 자아실현을 이끌어 내고, 성격과 인격 및 의지형성의 기반이 된다.

Erikson(1963)은 저서 ‘아이와 사회’에서 정체성은 자아가 내적 충동, 욕구, 외적 압력 및 유혹이나 도덕적 제약들을 자기다운 독특한 방식으로 조정, 통합함으로써 고유한 자신의 동일성을 유지해 나가려고 하는 자각과 함께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이라고 한다. 정체성에 대한 의식이 강한 개인이나 집단은 비록 다른 개인이나 집단과 동일한 동기, 흥미, 가치를 공유하더라도 자신을 다른 사람과 분리된 독특한 존재로서 자각하며 자기 일관성을 갖고자한다. Gellerman(1963)은 논문 ‘동기부여와 생산’에서 자아개념은 개인에게 의미와 일관성의 감정을 가지게 한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자신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있으나 자신의 정확하지 않는 이미지에 충실해 어떤 일관성을 획득한다. 즉, 자아 정체성은 자기다움과 행동의 일관성을 유발한다.

Knight 등(1989)은 논문 ‘사회적 관계, 퇴화부터 종속까지’에서 정체성 의식은 주체적 행동의 조건이며 결과인 사회적 행동에 참여를 통해서 유지되며, 인간은 정체성 의식을 통해서 자신을 구별된 자주적인 개인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따라서 자아 정체성이 확립될수록 개인은 보다 긍정적 생각이나 행동으로 나아가며, 자신을 구별된 자주적인 개인으로 인식하고 성장한다. Foucault(1982)는 저서 ‘주체와 파워’에서 파워는 주체성에 관계하며, 파워 관계는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이러한 정체성은 개인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준다고 한다. 따라서 자아 정체성은 자주적 및 주체적 행동을 유발한다.

Erikson(1961)은 저서 ‘정체성’에서 정체성은 동일성, 포용성 및 전체성으로 특징된다고 한다. 동일성은 여러 역할 속에서 통일된 자아로서 정체성을, 포용성은 종합적으로 전체를 파악하려고 하는 의미로서 정체성을, 전체성은 있어야 할 모습이 내면화된 자아로서 정체성을 의미하므로 사회공동체 구현에 기여한다. 이경환(2001)은 저서 ‘국가생존전략’에서 정체성은 욕구에 의해서 형성되지만 형성된 정체성은 욕구를 끄집어내 자기다움의 행동을 유발한다고 한다. 예로써 학생으로서 자아 즉, 학생다움을 유지하기 위해 정체성을 확립한 학생은 스스로 예의바른 생활과 학업에 열중함으로써 자기발전을 도모한다. 따라서 자아 정체성은 자기다움의 개발과 함께 사회공동체적 질서를 만들어 낸다.

&lt;그림1&gt; 자아 정체성 기반 자율적 인적역량 형성<br>
<그림1> 자아 정체성 기반 자율적 인적역량 형성

이경환(2015)는 저서 창조성 개발과 자아실현‘에서 자아는 개인의 정체성이며 가치이고, 본질이고, 핵이며, 지신의 본질을 지속적으로 깨닫게 하고, 본질구현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한다고 한다. 이를 위해 정체성은 내재적 동기를 부여하고 비전을 만들어 내고, 목적을 설정하고 <그림1>과 같이 자신의 본질구현을 위해 지식을 탐구하며, 이 과정에서 경험과 기능을 획득하고, 이들과 결합을 통해 인적역량을 개발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한다. 인적역량은 성공적인 일의 추진을 위한 개인의 내적능력이다. 자아 정체성은 인적역량 개발을 주도한다.

Maslow(1965)는 저서 ‘동기부여와 성격’에서 자아실현은 개인의 재능, 능력 및 잠재적 가능성의 모든 사용과 이용을 포함한다고 한다. 자아실현은 사람의 모든 잠재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욕구이다. 자아실현의 사람은 완전히 성취되고 자신의 모든 가능성을 실현한다. 즉, 자아실현은 자신의 본질로 나아가는 프로세스이다. 앞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자아는 자신의 본질구현을 위한 비전을 만들고 동기를 유발하므로 자기 충만을 지각하게 한다. 자기 충만은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지각이다. 따라서 자아 정체성은 자기 충만을 기반으로 개인을 자아실현으로 이끌어 낸다.

Coon 등(2009)은 저서 ‘심리학’에서 자아개념은 자신의 성격특성에 대한 개인적 지각이라고 한다. Kinicki 등(2009)은 저서 ‘조직행동’에서 자아는 사람의 의식적 존재의 핵이라고 한다. Nairne(2006)는 저서 ‘심리학’에서 성격은 타인과 구분되고 다양한 상황에서 일관된 행동으로 이끄는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과 같은 심리적 특성의 현격한 패턴이라 한다. 정신분석용어사전(2002)에서 인격은 관찰가능하고, 지속적이며, 자아 동조적이고, 일상에서 비교적 예측가능한 개인행동 유형이며, 성격 개념을 포함하므로 성격의 도덕적, 윤리적 평가에 관계한다고 한다. 따라서 자아 정체성은 인격과 성격의 기반이다.

Cash 등(2002)은 저서 ‘더미를 위한 심리학’에서 의지는 자유로운 선택과 자기 규제적 행동을 기반으로 한 중단되지 않는 결심에 관계한다고 한다. 이경환(2015)은 전 계서에서 의지는 특정의 목적이나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자기조직화 능력이라고 한다. 앞에서 지적한 것과 같이 자아 정체성은 목적을 만들어 내고 자기다움과 주체적, 일관적 및 자주적 행동에 관계하므로 의지형성의 기반이다. 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이나 인적역량의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세스이다. 그렇듯 자아 정체성은 행동의 자주성, 주체성, 일관성을 유발하고 비전과 인적역량 형성 및 인적역량 형성과 자아실현을 주도하고, 공동체구현에 기여하며, 성격, 인격 및 의지형성의 기반이 된다. 따라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이나 인적역량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은 이것에 부응하는 학습자의 자아 정체성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