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환 박사의 국가생존전략 158편

▲ 이경환 박사
-글로벌스마트인공지능연구소 대표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명예교수

교육학용어사전(1995)에서 인격은 사람의 품격으로서 흔히 성격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성격은 사람의 특성패턴으로서 도덕적 평가대상이 아니나 인격은 도덕적 평가 대상이다. 정신분석용어사전(2002)에서 인격은 관찰가능하고 지속적이며, 자아 동조적이고, 일상에서 비교적 예측가능한 개인 행동유형이며, 성격 개념을 포함한다고 한다. 따라서 인격은 성격의 도덕적 또는 윤리적 평가에 관계하므로 인간으로서 갖추어야할 됨됨이나 품격이다.

Guilford(1989)는 저서 ‘성격’에서 성격은 사람의 특성패턴이며, 특정 방법으로 행동하게 하는 안정된 성향이라고 한다. Coon 등(2009)은 저서 ‘심리학’에서 자아개념은 자신의 성격특성에 대한 개인적 지각이라고 한다. Rogers(1961)는 저서 ‘인격형성’에서 자아는 자신의 행동과 내적특성에 대해서 어떻게 보고 있는가에 관계하며, 성격의 본질은 자아개념에 포함돼 있다고 한다. 따라서 성격은 자아 정체성에 관계하며, 인격은 자아 정체성의 도덕적 또는 윤리적 평가에 관계한다. 개인의 자아 정체성은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정체성으로 구성되므로 개인의 인격은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정체성의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다.

<그림1>인성역량 시스템

개인의 개인적 자아 정체성은 자아실현 경향성을 준거의 틀로 한 유기체적 가치측정 시스템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개인의 개인적 자아 정체성의 특성은 자아실현 경향성의 특성에 의존한다. 자아실현 경향성은 <그림1>과 같이 인성역량 시스템에 내재하며, 선천적인 것으로서 창의성과 인성5역량을 포함한다.

&lt;표1&gt;인성5역량기반 자아정체성의 주도적 행동 <br>
<표1>인성5역량기반 자아정체성의 주도적 행동

경향성은 생물학적, 심리적 및 정신적 측면에서 최고가 되고자 하는 내재적 동기를 유발한다. 창의성은 새로운 도약을 위한 동기를 유발하고 근원을 찾고 근원으로부터 변화를 이끌어 낸다. 인성5역량은 창의, 정서지능, 가치화, 자유의지 및 자기정화 역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고유한 정체성을 만들어 내고 <표1>과 같은 행동특성을 유발한다.

<그림1>과 같이 자아실현 경향성은 창의성과 인성5역량을 포함하므로 개인적 자아 정체성은 창의성, 인성5역량 및 자아실현 경향성의 가치구현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인적 자아 정체성은 일상에서 원리와 원칙을 중요시하고 이상이나 절대적 가치나 진리를 추구하고자 한다. 개인적 자아 정체성이 강화될수록 때로는 사고나 행동에서 유연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자아실현 경향성은 선천적인 것이므로 이것에 기반 한 개인적 자아 정체성은 인종, 성별, 나이에 무관하게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이며 본질적인 것이므로 인성적 인격에 관계한다.

개인의 사회적 자아 정체성은 가치의 조건을 준거의 틀로 한 사회적 가치측정 시스템에 의해서 형성된다. 가치의 조건은 조건적 긍정적 존중의 사회가 개인에게 부과한 조건이다. 개인이 조건적 긍정적 존중에 지배될 경우 이것이 부여하는 가치의 조건에 부응하는 가치학습이 유발되며, 이러한 학습된 가치가 결합돼 사회적 자아 정체성으로 나타난다. 사회적 자아 정체성은 자신을 사회적 존재로서 지각하고 사회가 부과한 조건에 따라 되고자하는 자아이므로 인간의 사회적 인격에 관계한다. 사회적 인격은 개인의 사회성을 의미하며, 후천적 경험이나 학습에 따라 다르다. 사회적 자아는 타인이 자신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대와 역할이며, 실제적 자아로 발전하며,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삶을 추구한다. 사회적 인격은 이념, 이즘 또는 철학적인 가치를 중요시하며, 때로는 이러한 가치에 기반 한 규칙을 스스로 만들어 내고 이것에 동조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배타적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지금까지 알아본 것과 같이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는 각각 개인의 인성적 및 사회적 인격에 관계한다. 인성적 인격은 원리와 원칙적인 삶을 중요시하고 이상, 절대적 가치, 진리나 생존기반의 삶을 추구하므로 긍정적이다. 또한 인성적 인격은 인종, 성별, 나이에 무관하게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이며 본질적인 것이다. 이에 비해서 사회적 인격은 실제적이며 현실적 삶을 중요시하고 이념, 이즘 또는 철학적 가치 지향적 삶을 추구한다. 이념, 이즘 및 철학은 진리가 아니므로 파워의 역할변이가 유발돼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사회적 인격은 국가, 사회나 교육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가 지향하는 삶은 경쟁과 협력의 관계에 있기도 한다.

이경환(2017)은 저서 ‘창의·인성과 기업가적 능력개발’에서 자아 포지션은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의 조화성, 일관성 또는 영향력에 관계한다고 한다. 자아 포지션이 조화롭거나 일관된 개인은 전인격으로 나아간다. 전인격(whole personality)은 결점이 없이 완전한 인격 즉, 온전한 인격을 의미한다. 전인격의 사람은 도덕적이고 윤리적이며, 인적역량을 자율적으로 개발하고, 완전자아실현으로 나아간다. 그러나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의 조화성이나 일관성이 결여된 사람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도덕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며, 겉과 속이 다른 내로남불의 행동을 흔히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인재교육은 개인적 및 사회적 자아 즉, 인격적 및 사회적 인격의 일관성이나 조화로움의 함양에 초점을 둬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