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사태로 1년간 피해를 본 기업이 10곳 중 8곳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항공회의소는 31일 국내 업체 302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사태 1년, 산업계 영향과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코로나19 사태가 미친 영향에 대해 응답기업의 75.8%가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고 ‘생존까지 위협받았다’는 기업도 8.3%에 달했다. 반면 ‘다소 도움이 됐다’는 응답기업은 14.6%, ‘좋은 기회였다’는 기업은 1.3%였다.

피해를 입은 기업 중 비상경영을 시행한 기업의 비중도 41.1%에 달했다. 비상경영에 돌입한 이유로 ‘매출급감’(79.0%)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비상경영에 따른 조치로는 ‘임금감축 등 경비절감’(71.9%), ‘휴직·휴업’(50.0%)이 주를 이뤘다.

대한상의는 “지난해 한국경제는 OECD국가 중 역성장 폭이 가장 적을 정도로 선방했지만 이는 코로나19위기 극복을 위한 특단의 부양조치 덕분”이라며 “변종 코로나 확산과 미·중 갈등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크고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여전히 많아 대비를 지속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백신접종이 이뤄진 후인 올해 3분기와 4분기를 사업이 정상화 되는 시점으로 내다봤다.

다만 업종별로 경기회복과 야외활동의 수혜가 큰 ‘정유’는 2분기 말, 집콕과 주택공급 확대 등으로 호기를 맞는 ‘가전’과 ‘건설업’은 3분기 이후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다. 반면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항공·여행’과 ‘사업서비스’는 4분기, ‘공연문화’는 내년 이후에나 정상화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기업들은 코로나19 종식 여부와 상관없이 디지털화, 무인화 등의 변화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 경영환경에 대해 ‘가속화·확산하거나 코로나 때와 비슷할 것’이라는 전망이 72.8%에 달했지만 ‘코로나 이전으로 회귀’ 전망은 27.2%에 불과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사태 이후 위기요인을 1점, 기회요인은 5점으로 부여해 척도를 평가한 결과 디지털·바이오 등 ‘신산업 부상’(3.34)에 대해 기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친환경 트렌드 확대’(3.20), ‘글로벌공급망(GVC) 재편’(3.18), ‘비대면 온라인화’(3.17)에 대한 기회 인식이 높았다.

코로나19 사태 종식 이후 경영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여부에 대해서는 ‘대응 중’ 또는 ‘계획마련 중’인 곳이 ‘59.6%’로 나타났다. 대응기업의 추진하는 방안으로는 ‘신사업 강화’(26.7%)가 가장 많았다. 이어 ‘변화모니터링 확대’(25.0%), ‘사업의 디지털전환’(19.4%), ‘친환경경영 강화’(13.9%), ‘공급망 다변화’(12.8%) 등이 뒤를 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 “지난해가 생존을 고민했던 시기라면 올해는 위기극복 정책을 지속하면서 미래를 위한 성장 기반을 확충해야 할 때”라며 “코로나가 촉발한 비대면·온라인 트렌드를 전통산업에 접목하고 친환경확산과 GVC재편 등의 시대적 조류에 따른 산업재편·신산업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